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국내 도시재생 현황 및 특성 그리고 문제점 등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도시재생 과정에서 가져야 할 사회적⦁기능적 역할과 지역 커뮤니티와의 연계성을 찾아내어 도시재생 평가 사례의 분석항목과 분류유형 체계를 구축한다. 둘째, 도시재생의 평가지표 도출을 위해 도시재생의 모니터링의 기본방향 및 지표구축의 주요 성격, 제도와의 연계방향을 고찰하고, 도시재생 사례에 적용하기 위한 모니터링 지표연구 부분으로 구분한다. 사례의 공간적 범위는 2015년 전략계획에서 지정한 13개 활성화 지역을 대상으로 정한다. 내용적 범위는 상기기간 시행한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주민참여에 의한 사례를 지역 주민들이 참여 유형에 따라, 1)주민참가형, 2)주민기획형, 3)주민주도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지역주민 참여 유형에 따라 기획이전-기획-계획-사업성과-사업종료 후 평가 단계별 세부 사업내용과, 관련 주체들의 담론 및 사업에 관련해 수행한 주요 역할을 살펴본다. 이에 모니터링 및 평가 할 대상을 선정 앞서 설정한 지역주민 참여 유형과 단계별 역할에 따라 사업 완료 후 실제로 사용하는 지역 주민의 만족도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프로세스 지역 커뮤니티 참여 실천적 원칙을 도출한다.셋째, 도시재생 사업에서 법률에 의해 모니터링이 시행되는 해외의 지역 커뮤니티 중심 도시재생의 성공적 사례를 살펴본다. 대표적으로 일본과 영국의 사례 중 국내 사례와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는 사례들을 기초 연구로서 조사한다. 일본의 경우 마을 만들기 교부금 지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 평가의 자체적 수행으로 자력재생역량강화 및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 도시계획제도로서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어 도시계획 모니터링 지표의 주요 성격과 방향을 분석한다. 런던플랜 모니터링 보고서(London Plan Annual Monitoring Report 15)는 총 6개의 목표와 24개 주요지표에 대한 모니터링 내용을 담고 있다 (2019, London Plan AMR). 일본과 영국의 모니터링⦁평가 방식 분석을 토대로 국내 도시재생 사업에 모니터링이 도입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도시재생 프로세스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지속가능하고 경쟁력을 지닌 도시재생 프로세스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