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항목 항목설명
과제명신청 및 협약 과제를 기준으로 국문 세부과제명의 정식명칭(국문과제명과 영문과제명 구분)
연구책임자명연구책임자명
과제관리기관명해당 사업의 과제 및 성과정보를 등록·관리하는 기관의 정식 명칭
과제수행기관연구개발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 명칭
과제수행기관
사업자등록번호
과제수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
※ 공백없이 '-'를 포함(예: 123-45-67890)
※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외국기업의 경우 전문기관에서 관리하는 기관 ID값을 입력
부처명연구개발사업의 기획,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제반사항을 주관하는 중앙행정기관의 명칭 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명세부사업명
(기관)세부과제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세부과제번호
과제고유번호과제관리기관에서 과제별로 부여하는 과제번호
한글키워드한글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영문키워드영문 키워드(5개 내외; 콤마(,)로 구분)
연구목표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목표에 대한 요약
연구내용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공정 또는 제품 포함)의 수준·성능·품질 등 연구내용에 대한 요약
기대효과과제 수행 시 기대효과요약
※ 연구개발 결과의 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등에 대한 요약
※ 관련 산업의 공정 과정 개선, 사업화 및 파급효과, 응용분야에서 거두게 될 경제적 가치 등을 기술
  • 검색건수

    • 61건

과제

검색옵션

건수 :

도움말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기준연도 / 예산사업명 / 연구책임자 / 과제수행기관 / 부처명 / 정부투자연구비(총연구비)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계속과제 묶어보기란? 보안과제(국방 비밀과제 포함)는 검색목록에서 제외됩니다.

동일한 과제가 연도별로 중복되어 나와서 불편하시나요?
해당 기능을 클릭해보세요!

건수 :

  • 폐경여성의 폐경증상에 대한 수지요법의 효과

    (1340027876)

    2006

    기초과학학술연구조성(여성과학자지원)

    신혜숙

    경희대학교

    교육인적자원부

    23000000 (23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여성의 평균 폐경연령이 48~50세로 80년 인생의 후반 30년을 폐경 후 기간으로 지내게 됨에 따라 폐경기 여성의 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폐경 된 여성 중 호르몬 요법을 받지 않는 여성이 받는 여성보다 불면증이 심하며, 폐경기에는 난소호르몬 분비감소로 내분비적 변화와 대사 변화가 나타나, 이로 인한 폐경기 증상 중 우울증, 불면증을 주로 호소하게 된다. 여성의 일생에서 폐경이라는 발달과정은 생식기에서 비생식기로 전환되는 정상적인 사건이나 갱년기 이후의 생이 길어짐으로 인해 오랜 기간 건강한 노년을 지내기 위해서는 자기 스스로 폐경증상을 완화하며 건강을 돌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무엇보다도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고, 폐경기 여성들에게 쉽게 적용가능하며, 자가관리 방법으로 실생활에서 활용이 용이한 보완대체요법인 수지요법을 중년여성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여성에게 수지요법을 적용하여 폐경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간호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는 가능성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한국적 보완대체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ㆍ 수지요법이 폐경여성의 불면정도, 우울정도 및 질건조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ㆍ 수지요법이 폐경여성의 호르몬(FSH, LH, Estradiol)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1. 연구설계본 연구는 수지요법을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 간의 불면정도, 우울감, 질건조감 및 호르몬 수준을 비교하는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2. 연구방법1) 연구대상자 : 폐경 후 1년 이상 된 60세 미만의 폐경여성2) 실험처치 : 자극방법은 수지전자빔, 수지뜸, 수지봉을 이용하여 손바닥과 손등의 혈에 자극을 주며, 자극기간은 1주일에 3회, 8주간 매회 같은 시간에 실험처치를 한다. 수지전자빔을 각각의 혈자리에 20초씩 적용한 후, 수지뜸을 각각의 혈자리에 3장씩 뜬 후 1호 수지봉을 부착한다. 3) 연구도구 : 불면정도는 Insomnia Severity Index, 우울 도구는 CES-D, 질건조감은 시각적 상사척도, 호르몬 수준은 PACKARD사(USA)의 COBRA II Gamma Counter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3. 기존연구들과의 차별성ㆍ 확률배정과 이중차단방법을 통해 연구결과의 표준화 ㆍ 생리적 지수인 난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에스트라디올(E2)를 측정하여 실험처 치 효과의 객관화

    ㆍ폐경여성을 대상으로 수지요법의 효과 중 생리적 지수로 검증한 국내외 연구가 없으므로 본 연구 에서는 호르몬 수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여 한국적 보완대체 간호중재를 객관화할 수 있다.ㆍ여성건강간호학 교과내용에 폐경여성의 간호중재 방법으로 보완대체요법 중 하나인 수지요법을 포함시켜 교육할 수 있다.ㆍ수지요법은 자가관리와 가족 중심적 관리 방안으로 실생활에서의 활용이 용이하며, 폐경여성의 약 물복용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ㆍ보완대체요법을 통한 폐경증상 관리를 통해 여성의 노후의 삶의 건강증진 및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ㆍ수지요법은 적용이 쉽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보완대체요법으로써 여성건강 발달위기인 초경, 임 신, 분만, 산욕,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건강행위를 제공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ㆍ폐경여성 건강관리는 폐경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안녕을 통해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도 기여 할 것이다.

  • Q 방법론을 적용한 여성 축구동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유형별 특성 요인

    (2340006901)

    2024

    인문사회기초연구

    김류경

    조선대학교

    교육부

    20000000 (20000000)

    ○ 2024시즌 K리그1 개막 라운드 관중 수는 총 9만 4천 명으로 성공적인 결과로 시작되었다. 주목할 점은 여성 팬의 비율이 절반 가까이 늘었다는 점이다. 2023년 기준 K리그 관중의 여성 비율은 47%로 2019년에 비하면 15%가 늘 정도로 여성 팬들이 부쩍 늘었다. 과거 전통적으로 스포츠 참여, 직관은 남성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졌었지만 이제 옛말이다. 아이돌 등 연예계 세계에서만 보던 팬덤 문화가 스포츠로 넘어와 국내 프로스포츠 팬덤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여성 팬의 증가는 스타급 여성 선수들이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일반 여성들의 축구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고도 볼 수 있다. ○ 또한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 2023 아시안컵 등 축구 흥행과 함께, 예능 프로그램 '골 때리는 그녀들'이 인기를 끌면서 여자도 축구를 즐기는 새로운 트렌드가 자리 잡게 되면서 생활체육 축구를 참여하는 동호인들이 많아졌으며, 현재 여자축구는 블루오션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여성들이 축구를 접하는 인식 자체가 바뀜으로써 축구에 직접 참여하는 여성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여성 축구동호인의 생활체육 참여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접근해보고자 한다. 또한 참여유형에 따라 분류한 뒤 참여유형에 따라 생활체육 여자 축구 각각의 특성들을 탐색해봄으로써 생활체육 여자축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와 예능 프로그램 등으로 여자축구에 대한 선입견과 이미지를 바꾸는데 나름 크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생활체육만큼 엘리트 여자축구 발전에 있어서는 더딘 상황이다. 생활체육 여자축구 활성화를 통해 단발성, 반짝이는 여성 스포츠가 아닌 엘리트 여자축구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본 연구는 여성 축구에 대한 관심이 전보다 높아진 지금 기회를 잡아야 하며, 그러한 방향으로 여성들에게 축구가 생활체육으로 자리 잡아 참여율이 증가하는 게 필요하다 판단된다. 이는 여자축구 발전의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더 넓은 관점에서 엘리트 여성 축구의 단계적 접근을 구축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Q 방법론은 각 사람들이 측정할 수 있는 주관성을 다루어 왔으므로, 개인적인 태도에 바탕을 둔 구조의 유사성에 의거하여 사람들의 주관적인 태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수용자들이 자기 대상(self-referent) 진술문에 의해 자신의 태도를 분류함으로써 조작적 정의를 내리는 방법이며, Q-Sample, Q-sorting, factor analysis에 의해 수용자의 개인적 태도와 견해를 적절히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이다.1단계 Q 표본 선정: (1) 예비문항 추출: Q-Sample을 추출하기 위해서 먼저 Q 모집단을 구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Q-Sample 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2차례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다. 첫째, 참여유형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문항을 추출할 것이며, 둘째, 교수 및 전문가 5명, 경력이 오래된 여자 축구동호인 5명, 여자 축구동호인 지도자 5명에게 여성 축구동호인 참여유형 인식에 대해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주관적 신념, 의견, 가치와 태도 등을 알아볼 것이다.(2) 문항의 적절성 평정 및 내용타당도: 문항들을 토대로 본 연구자와 이와 관련된 연구 유경험자 및 교수 등 총 5명에게 여성 축구동호인의 참여유형 탐색 요인에 대하여 총 40문항 내외를 각각에 대해 “매우 적절하지 않다”에서 “매우 적절하다”까지 5점 척도상에서 평균 3점 미만의 문항을 삭제시키는 과정을 실시할 것이다.2단계 P 표본 선정 : 최종 Q 표본을 선정하기 위해 제작된 개방형 설문지는 J도, G 광역시 여성 축구동호인 15명에게 배부하여 약 75개의 모집단을 구성할 것이다.3단계 Q 분류 : P 표본으로 선정된 참여자들은 진술문의 내용이 적힌 카드를 읽고 자신의 생각과 가장 일치하는 문항은 '+4'의 위치에, 자신의 생각과 가장 일치하지 않는 문항(-)은 '-4'의 위치에 카드를 분류하도록 할 것이다. 이때 카드 배열은 정규분포의 형태를 띠도록 강제 분포를 시키는 Q 방법론의 원리에 따라 Q-Sorting Chart를 준비하며 Q-Sorting Chart에 이러한 방법으로 '+4'와 '-4' 사이에서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카드를 배열하고, 어느 쪽으로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는 중립인 '0'에 배열하도록 할 것이다.4단계 자료 분석 : Q 표본 분포표의 코딩 및 QUANL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요인 수의 결정을 위해 Eigen value 1.0 이상을 기준으로 요인 수를 다양하게 입력시켜 산출된 결과 중 최선이라고 판단된 유형을 선택할 것이다.

    ○ 생활체육 여성축구를 지속하기 위한 개선방안 마련 : 여성들이 축구를 지속하기 위한 환경 개선, 예산 배정, 인프라 개선,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인 피드백 등 여성들의 축구를 꾸준히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제정시키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사회적 인식 개선 : 여성 스포츠도 남성들이 하는 스포츠와 다르다는 편견을 해소할 수 있는, 올바른 사회적 인식을 정착시키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여성스포츠 참여 활성화 : 여성들의 스포츠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할 때, 다양한 종목의 여성 스포츠 참여 활성화를 위한 연구에 일조할 것이다.

  •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양상/증상, 월경이상 및 다낭성난소증후군 실태와 불규칙 월경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에서 생활습관수정프로그램의 효과

    (1345277121)

    2018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박영주

    고려대학교

    교육부

    50000000 (50000000)

    1차년도(2017):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1) 월경양상 (월경양, 기간, 빈도, 규칙성)과 증상 실태를 파악하고, 2) 월경이상 실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3) 성인초기 여성의 NIH/NICHD criteria에 준한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유병율을 추정한다.2차년도(2018):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건강 개선을 위해 1) 불규칙월경과 연 총 월경횟수가 10회 이하의 월경 이상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건강 개선을 위한 대학기반의 생활습관수정프로그램 college-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college-based LMP)을 개발한다. 2) 1차년도(2017년)에서 불규칙 월경이 있거나 연 총 10회 미만의 월경이상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에게 college-based LMP를 적용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를 수행한다.

    1차년도(2017): 1차년도 1단계 연구는 서울시내 일 종합대학의 18-29세의 여대생/여자대학원생중 900명~1,000명을 대상으로 월경양상/증상. 월경이상 실태를 파악한다. 월경양상(양, 기간, 빈도, 규칙성)은 월경주기, 연 총 월경횟수, 규칙성의 문항을 포함하는 월경양상 측정도구를, 월경양의 측정은 pictorial blood assessment chart(PBAC)를, 월경증상의 측정은 The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도구를 이용한다. 월경건강 관련 요인으로는 비만도, 식이섭취 조사 및 일반적 특성을 측정한다.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에서 총 월경횟수가 10회 미만이거나 불규칙 월경을 보고한 여대생/여자대학원생을 대상(선행연구 근거로 8-15% 적용시 약 70~150명)으로 PCOS 진단에 대한 NIH/NICHD criteria에 준하여 임상적(조모증 검사)/생화학적 고안드로겐 혈증 검사[total testosterone, free androgen index(FAI), sex hormone binding globulin(sHBG)]를 수행한다.2차년도(2018): (1) college-based LMP 개발: 월경건강과 fit body mass/ nutrients와 관련된 체계적 문헌고찰, 간호학, 의학, 영양학 및 체육학 전공 교수와 대학교 보건/간호실무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college-based LMP를 개발한다. 이 program은 월경건강과 관계된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 components의 요소를 인지/운동(fit body mass)/영양( folic acid/Omega) session에 포함하며, 대상자 순응을 높힐 수 있는 reinforcement와 feedback 전략이 포함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2) college-based LMP 효과 검증: 1차년도(2017년)에서 파악된 불규칙 월경 또는연 총 10회 미만의 월경주기 이상이 있는 대상자 6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college-based LMP를 28주간(7개월)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다. 효과의 측정은 총 월경횟수, 매 월경주기에서 DRSP와 PBAC을 이용한 월경증상/양 측정, 혈액검사를 이용한 total testosterone, FAI, sHBG 측정, 체성분/비만도 측정, 섭취 영양소분석을 위한 식이섭취 조사 및 건강생활습관을 이용한다.

    1) 본 연구결과는 일반 인구집단에 있는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을 대상으로 대단위 표본조사를 수행한 월경양상(양, 빈도, 규칙성, 주기) 및 증상, 월경이상 실태를 보여주는 연구로 우리나라 이 시기 여성의 월경건강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최신의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이 시기 우리나라 여성의 생식건강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신뢰로운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 개발된 college-based LMP는 이 시기 여성의 월경건강에 개선을 도모하는 학교보건에 적용가능한 생활습관 개선을 이용한 건강모델이 될 것이며, 이는 정상 인구집단에서 여성 개인의 생식건강 향상외에도 월경건강으로 발생되는 사회/국가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학교/지역사회 생식건강 증진 방안을 위한 모범 모델로 기여할 것이다.

  • 한국 여성스포츠의 인플루언서

    (2340008784)

    2024

    인문학진흥

    천호준

    우석대학교

    교육부

    10000000 (10000000)

    '아름다움'이란 '여성'들이 지닌 고귀함을 표현하기에 참으로 적절한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현대에 이르러 이러한 여성의 미(美)는 과거에 비해 훨씬 개방적이고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됨으로써 그들의 표현방식이 꽤 풍성해지고 자유로워진 것이 사실이나, 아직까지도 부드러움, 온화함, 따뜻함이라는 표현으로 여성스러움을 대변하고 있다. '여성체육'또한 외적인 요소에 국한되는 경향성을 보여 신체적 표현 즉, 몸의 선을 표현하는 예술성이 강한 종목들로 여성성이 편중되기도 한다. 물론 스포츠의 강인함이 가져다 주는 요소와 더불어 심미적 가치가 부각되는 점에서 상당히 매력적이나, 아름다움의 의미는 여성체육에 있어 보다 심오한 해석이 필요하고 사회적 관념 또한 이를 통해 재해석 되어야 할 여지가 분명하다. 다시 말해 '스포츠 여성 인플루언서(influencer)'들이 심어 놓은 내재적 가치에 대한 대중화가 선행되어 여성의 강인함, 리더십, 사명감 등 또한 여성의 미로 확장되어야 함을 의미한다.우리나라의 체육을 포함한 다양한 신교육이 소개된 계기는 개화기를 거치면서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여성체육'의 경우는 100여 년 전부터 태동하여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태초에 체육의 역사가 남성 중심인데다 여성성을 강조하는 특정 스포츠 종목이 강조됨에 따라 스포츠의 본질적인 의미가 다소 희미해진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체육에 관련된 많은 자료들 또한 남성중심으로 다루어져 왔기에 본서에서는'스포츠 여성문화'를 창조해낸 인물들의 노고를 담아냄으로써 대한민국 여성의 미 나아가 여성체육의 가치를 보다 폭넓은 의미로 해석하고자 한다. 올림픽은 단순히 스포츠인들의 축제만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키워드로 한 국가의 정치, 교육 등의 가치체계와 결합하며 나라의 경제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한국의 근·현대 체육사와 맥을 연계하는 올림픽 연구와 간행물들이 상당수 발간되어왔으나, 주로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편찬한 기록물이나 대회조직위원회에서 제작한 결과보고서 등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역사에 대한 서술이 집단적이라는 한계점을 갖는다. 쉽게 말해 단일한 형태만을 강요하는 측면으로 편중되어 왔던 것이다. 약 10년 전부터 한국체육사 분야에서 이와 같은 사료의 부조적(浮彫的) 이용의 문제점과 실증주의의 한계를 지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관행적 연구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역사를 폭넓게 인식함에 있어 깊이 있는 천착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나 국내에 잔존하고 있는 올림픽 관련 사료들은 주로 공적 기억만을 다루어 역사해석의 불균형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거시적 차원에서는 국가주의, 민족주의, 경제만능주의, 선진국 담론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외 메달의 수, 일부 남성 스타선수 등으로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직접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들이 간직하고 있는 사회적 기억을 기록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학계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을 기반으로 기억이 '남겨진 과거'와 같은 수동적 산물이 아닌 목적의식을 가지고 '구축'된 즉, 사회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최근 국내외 연구들 또한 교과서, 역사서, 박물관, 유적, 대중매체 그리고 아카이브에 채워진 전통적인 기록들보다는 실제 경험한 사례, 색다른 이야기와 같은 진실한 목소리에 점점 집중되고 있다(최정은, 2011).따라서 본서의 기획 의도는 국가나 일부 공공기관 등에 의해 통제, 관리되고 있는 공적기록과 더불어 여성 올림피언의 사회적 기억을 다룬 기록을 후대에 전승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그동안 억압되고 망각되어 왔던 여성 올림픽 참가자들의 주관적인 체험을 수면 위로 떠올려 한국의 올림픽 역사에 균형적인 인식을 도모하고, 그들이 창조해 낸 '한국 스포츠 여성문화'를 알림으로써 여성체육의 미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아름다움'이란 '여성'들이 지닌 고귀함을 표현하기에 참으로 적절한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현대에 이르러 이러한 여성의 미(美)는 과거에 비해 훨씬 개방적이고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됨으로써 그들의 표현방식이 꽤 풍성해지고 자유로워진 것이 사실이나, 아직까지도 부드러움, 온화함, 따뜻함이라는 표현으로 여성스러움을 대변하고 있다. '여성체육'또한 외적인 요소에 국한되는 경향성을 보여 신체적 표현 즉, 몸의 선을 표현하는 예술성이 강한 종목들로 여성성이 편중되기도 한다. 물론 스포츠의 강인함이 가져다 주는 요소와 더불어 심미적 가치가 부각되는 점에서 상당히 매력적이나, 아름다움의 의미는 여성체육에 있어 보다 심오한 해석이 필요하고 사회적 관념 또한 이를 통해 재해석 되어야 할 여지가 분명하다. 다시 말해 '스포츠 여성 인플루언서(influencer)'들이 심어 놓은 내재적 가치에 대한 대중화가 선행되어 여성의 강인함, 리더십, 사명감 등 또한 여성의 미로 확장되어야 함을 의미한다.우리나라의 체육을 포함한 다양한 신교육이 소개된 계기는 개화기를 거치면서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는데, '여성체육'의 경우는 100여 년 전부터 태동하여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태초에 체육의 역사가 남성 중심인데다 여성성을 강조하는 특정 스포츠 종목이 강조됨에 따라 스포츠의 본질적인 의미가 다소 희미해진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체육에 관련된 많은 자료들 또한 남성중심으로 다루어져 왔기에 본서에서는'스포츠 여성문화'를 창조해낸 인물들의 노고를 담아냄으로써 대한민국 여성의 미 나아가 여성체육의 가치를 보다 폭넓은 의미로 해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서의 기획 의도는 국가나 일부 공공기관 등에 의해 통제, 관리되고 있는 공적기록과 더불어 여성 올림피언의 사회적 기억을 다룬 기록을 후대에 전승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그동안 억압되고 망각되어 왔던 여성 올림픽 참가자들의 주관적인 체험을 수면 위로 떠올려 한국의 올림픽 역사에 균형적인 인식을 도모하고, 그들이 창조해 낸 '한국 스포츠 여성문화'를 알림으로써 여성체육의 미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감안하여 우선, 한국 여성스포츠에서 중요한 이슈인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대회 여자 배구(한국 구기 종목 사상 최초 동메달), 1984년 로스앤젤레스올림픽대회 여자 농구(한국 구기 종목 사상 최초 은메달) 그리고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 여자 핸드볼(한국 구기 종목 사상 최초 금메달)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종목당 2~3명의 여성 올림피언을 선정하여 국외에서 개발한 올림피언 구술사 질문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기록하는 작업 즉, 구술채록을 실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스토리텔링 단계에서는 해당 구술자별로 작성한 녹취록과 기초 및 배경연구에서 확보한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시도하고 원고를 작성할 것이다.1970년대 ~ 1980년대의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통해 전개된 여성 올림피언의 삶을 토대로 스토리텔링을 한 본서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여성체육인들의 일련의 활동과 노력의 과정 그리고 성취 결과들을 접함으로써 여성체육인 또는 일반 여성 독자의 자부심을 고취시켜 긍정적인 성장과 성공적인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둘째, 미래의 여성체육인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하는 예비 여성체육 학도들에게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미래의 또 다른 체육의 100년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구성원으로서 지속적인 자기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질 수 있다. 셋째, 한국 스포츠 여성문화를 창조해 낸 인물들의 강인함, 리더십, 사명감 등을 통해 기존의 여성의 미를 표현하는 온화함과 부드러움 등의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여성의 내재적 미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혀 사회적 인식도를 제고시키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한편, 본서를 도서관, 학교, 대한체육회 및 유관단체 등에 기증 배포하여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 청소년들까지 다양하게 접함으로써 사회적 문화에 대한 현대적 영감을 제공하는데 의미를 둔다. 또

    1970년대 ~ 1980년대의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통해 전개된 여성 올림피언의 삶을 토대로 스토리텔링을 한 본서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여성체육인들의 일련의 활동과 노력의 과정 그리고 성취 결과들을 접함으로써 여성체육인 또는 일반 여성 독자의 자부심을 고취시켜 긍정적인 성장과 성공적인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둘째, 미래의 여성체육인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하는 예비 여성체육 학도들에게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미래의 또 다른 체육의 100년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구성원으로서 지속적인 자기 개발에 대한 의지를 다질 수 있다.셋째, 한국 스포츠 여성문화를 창조해 낸 인물들의 강인함, 리더십, 사명감 등을 통해 기존의 여성의 미를 표현하는 온화함과 부드러움 등의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여성의 내재적 미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혀 사회적 인식도를 제고시키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한편, 본서를 도서관, 학교, 대한체육회 및 유관단체 등에 기증 배포하여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 청소년들까지 다양하게 접함으로써 사회적 문화에 대한 현대적 영감을 제공하는데 의미를 둔다. 또한 한국 올림픽 역사, 한국 체육사 교과목의 대학 강의와 특강에서 교재로 활용함으로써 미래의 여성문화를 선두 하는데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양상/증상, 월경이상 및 다낭성난소증후군 실태와 불규칙 월경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에서 생활습관수정프로그램의 효과

    (1345296908)

    2019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박영주

    고려대학교

    교육부

    12500000 (125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연구보고서(1)

    1차년도(2017):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1) 월경양상 (월경양, 기간, 빈도, 규칙성)과 증상 실태를 파악하고, 2) 월경이상 실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3) 성인초기 여성의 NIH/NICHD criteria에 준한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유병율을 추정한다.2차년도(2018):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건강 개선을 위해 1) 불규칙월경과 연 총 월경횟수가 10회 이하의 월경 이상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건강 개선을 위한 대학기반의 생활습관수정프로그램 college-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college-based LMP)을 개발한다. 2) 1차년도(2017년)에서 불규칙 월경이 있거나 연 총 10회 미만의 월경이상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에게 college-based LMP를 적용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를 수행한다.

    1차년도(2017): 1차년도 1단계 연구는 서울시내 일 종합대학의 18-29세의 여대생/여자대학원생중 900명~1,000명을 대상으로 월경양상/증상. 월경이상 실태를 파악한다. 월경양상(양, 기간, 빈도, 규칙성)은 월경주기, 연 총 월경횟수, 규칙성의 문항을 포함하는 월경양상 측정도구를, 월경양의 측정은 pictorial blood assessment chart(PBAC)를, 월경증상의 측정은 The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도구를 이용한다. 월경건강 관련 요인으로는 비만도, 식이섭취 조사 및 일반적 특성을 측정한다.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에서 총 월경횟수가 10회 미만이거나 불규칙 월경을 보고한 여대생/여자대학원생을 대상(선행연구 근거로 8-15% 적용시 약 70~150명)으로 PCOS 진단에 대한 NIH/NICHD criteria에 준하여 임상적(조모증 검사)/생화학적 고안드로겐 혈증 검사[total testosterone, free androgen index(FAI), sex hormone binding globulin(sHBG)]를 수행한다.2차년도(2018): (1) college-based LMP 개발: 월경건강과 fit body mass/ nutrients와 관련된 체계적 문헌고찰, 간호학, 의학, 영양학 및 체육학 전공 교수와 대학교 보건/간호실무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college-based LMP를 개발한다. 이 program은 월경건강과 관계된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 components의 요소를 인지/운동(fit body mass)/영양( folic acid/Omega) session에 포함하며, 대상자 순응을 높힐 수 있는 reinforcement와 feedback 전략이 포함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2) college-based LMP 효과 검증: 1차년도(2017년)에서 파악된 불규칙 월경 또는연 총 10회 미만의 월경주기 이상이 있는 대상자 6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college-based LMP를 28주간(7개월)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다. 효과의 측정은 총 월경횟수, 매 월경주기에서 DRSP와 PBAC을 이용한 월경증상/양 측정, 혈액검사를 이용한 total testosterone, FAI, sHBG 측정, 체성분/비만도 측정, 섭취 영양소분석을 위한 식이섭취 조사 및 건강생활습관을 이용한다.

    1) 본 연구결과는 일반 인구집단에 있는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을 대상으로 대단위 표본조사를 수행한 월경양상(양, 빈도, 규칙성, 주기) 및 증상, 월경이상 실태를 보여주는 연구로 우리나라 이 시기 여성의 월경건강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최신의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이 시기 우리나라 여성의 생식건강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신뢰로운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 개발된 college-based LMP는 이 시기 여성의 월경건강에 개선을 도모하는 학교보건에 적용가능한 생활습관 개선을 이용한 건강모델이 될 것이며, 이는 정상 인구집단에서 여성 개인의 생식건강 향상외에도 월경건강으로 발생되는 사회/국가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학교/지역사회 생식건강 증진 방안을 위한 모범 모델로 기여할 것이다.

  •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양상/증상, 월경이상 및 다낭성난소증후군 실태와 불규칙 월경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에서 생활습관수정프로그램의 효과

    (1345264538)

    2017

    개인기초연구(교육부)

    박영주

    고려대학교

    교육부

    37500000 (37500000)

    1차년도(2017):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의 1) 월경양상 (월경양, 기간, 빈도, 규칙성)과 증상 실태를 파악하고, 2) 월경이상 실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3) 성인초기 여성의 NIH/NICHD criteria에 준한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유병율을 추정한다.2차년도(2018):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건강 개선을 위해 1) 불규칙월경과 연 총 월경횟수가 10회 이하의 월경 이상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의 월경건강 개선을 위한 대학기반의 생활습관수정프로그램 college-based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college-based LMP)을 개발한다. 2) 1차년도(2017년)에서 불규칙 월경이 있거나 연 총 10회 미만의 월경이상이 있는 성인초기 여성에게 college-based LMP를 적용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 randomized controlled trial(RCT)를 수행한다.

    1차년도(2017): 1차년도 1단계 연구는 서울시내 일 종합대학의 18-29세의 여대생/여자대학원생중 900명~1,000명을 대상으로 월경양상/증상. 월경이상 실태를 파악한다. 월경양상(양, 기간, 빈도, 규칙성)은 월경주기, 연 총 월경횟수, 규칙성의 문항을 포함하는 월경양상 측정도구를, 월경양의 측정은 pictorial blood assessment chart(PBAC)를, 월경증상의 측정은 The daily record of severity of problems(DRSP) 도구를 이용한다. 월경건강 관련 요인으로는 비만도, 식이섭취 조사 및 일반적 특성을 측정한다. 2단계 연구는 1단계 연구에서 총 월경횟수가 10회 미만이거나 불규칙 월경을 보고한 여대생/여자대학원생을 대상(선행연구 근거로 8-15% 적용시 약 70~150명)으로 PCOS 진단에 대한 NIH/NICHD criteria에 준하여 임상적(조모증 검사)/생화학적 고안드로겐 혈증 검사[total testosterone, free androgen index(FAI), sex hormone binding globulin(sHBG)]를 수행한다.2차년도(2018): (1) college-based LMP 개발: 월경건강과 fit body mass/ nutrients와 관련된 체계적 문헌고찰, 간호학, 의학, 영양학 및 체육학 전공 교수와 대학교 보건/간호실무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통해 college-based LMP를 개발한다. 이 program은 월경건강과 관계된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 components의 요소를 인지/운동(fit body mass)/영양( folic acid/Omega) session에 포함하며, 대상자 순응을 높힐 수 있는 reinforcement와 feedback 전략이 포함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2) college-based LMP 효과 검증: 1차년도(2017년)에서 파악된 불규칙 월경 또는연 총 10회 미만의 월경주기 이상이 있는 대상자 6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college-based LMP를 28주간(7개월)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다. 효과의 측정은 총 월경횟수, 매 월경주기에서 DRSP와 PBAC을 이용한 월경증상/양 측정, 혈액검사를 이용한 total testosterone, FAI, sHBG 측정, 체성분/비만도 측정, 섭취 영양소분석을 위한 식이섭취 조사 및 건강생활습관을 이용한다.

    1) 본 연구결과는 일반 인구집단에 있는 우리나라 성인초기 여성을 대상으로 대단위 표본조사를 수행한 월경양상(양, 빈도, 규칙성, 주기) 및 증상, 월경이상 실태를 보여주는 연구로 우리나라 이 시기 여성의 월경건강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최신의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이 시기 우리나라 여성의 생식건강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신뢰로운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 개발된 college-based LMP는 이 시기 여성의 월경건강에 개선을 도모하는 학교보건에 적용가능한 생활습관 개선을 이용한 건강모델이 될 것이며, 이는 정상 인구집단에서 여성 개인의 생식건강 향상외에도 월경건강으로 발생되는 사회/국가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학교/지역사회 생식건강 증진 방안을 위한 모범 모델로 기여할 것이다.

  • 9.11테러이후신보수주의와미국사회의변화-부시행정부의여성정책과그영향을중심으로-

    (1340007046)

    2005

    학술연구조성사업(기초학문지원)

    이창신

    덕성여자대학교

    교육인적자원부

    7000000 (7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본 연구의 목적은 2001년 미국에서 발생한 9.11테러가 미국 사회에 어떠한 변화를 불러 왔는가를 연구하는데 있다. 특히, 9.11테러 이후 부시 행정부에서 감행하고 있는 여러가지 새로운 정책과 이에 대한 미 국민의 반응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9.11테러와 관련된 학문적 연구는 주로 정치, 군사, 또는 외교적인 측면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 내용을 보면 주로 9.11테러 이후 미국의 일방적인 외교정책이나 아프카니스탄과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미국의 정치적 분위기나 여론 등을 다루어 온 것이 대부분 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9.11테러가 미국 사회 어떠한 영향을 끼쳐 왔는가를 부시 행정부의 여성정책과 미국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 변화에 초점울 맞추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부시 행정부에서의 신 보수주의라 함은 주로 미국의 외교정책에 있어서의 강경책을 주장하는 정치적 경향을 의미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여성 정책에 있어서 진보적인 이슈에 대한 반격을 가하는 새로운 보수주의 경향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이는 부시 행정부에서 현재 감행하고 있는 육아와 관련된 정책에 있어서의 정부지원금 삭감이나, 낙태반대의 정치적 움직임, 또는 교육계에서의 여성들에 대한 보조금 삭감 등을 골자로 하는 여성정책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은 9.11테러 이후 급격히 변화되어온 미국의 보수적인 분위기의 근저에는 어떠한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영향력이 숨겨져 있는 가를 살펴 봄으로서 미국사회이 현안 문제와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모색해 보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9.11테러 이후 미국 사회는 지나친 애국심의 고조로 인한 보수적인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 역사를 통해서 볼 때 미국은 수차례의 전쟁들을 겪으면서 항상 애국심을 이용해서 국민들을 국가사업에 총동원 시키는 정책을 통해서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보여왔다. 미국의 국내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에 앞서 미국의 패권주의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미국의 외교문제에 있어서의 일방주의적 경향이 곧, 국내정책을 실행해 가는 과정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가 힘겹게 노력해 이끌어낸 합의를 무시해 국제사회에 반항하고 의견이 다른 나라들에 경제적 위협을 가함으로서 미국을 점점 고립시켜 가고 있다. 평화, 정의, 인권, 국제협력과 같은 가치는 미국이 그동안 지향해 온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정부는 여기에서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 미국의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 여론의 영향력과 이를 형성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부시 행정부의 보수적인 여성정책 결정과정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세한 여론과 매스미디어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부시행정부의 여성정책 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정책에 대한 예산 삭감이다. 특히 부시 행정부는 여성건강 정책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요즈음 미국에서는 많은 여성단체들은 1973년에 어렵게 승소한 로우대 웨이드의 입지가 매우 약해질지 모른다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9.11테러 이후 미국 여성계에서는 페미니즘의 죽음에 대해 논하고 있다. 과연 미국사회에서 페미니즘은 죽은 것일까 본 연구는 여성들의 사회, 경제, 정치면에서의 입지를 재 점검하고 여기에 대한 여성들의 노력을 살펴 봄으로서 미국사회의 변화와 앞으로 미국이 지향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볼 것이다.

    현재 국제사회에서 테러리즘의 위험은 상당히 높은 수위에 놓여 있다. 9.11테러 참사는 부시정권 출범 이후 힘에 입각한 미국의 일방적 외교정책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였다. 부시 대통령은 대화와 타협을 중시했던 전임자 빌 클린턴 대통령과는 달리 초강대국인 미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과신한 듯 매사를 독선적으로 밀어 붙였다. 부시 행정부는 9.11테러 이후 국가의 안정을 빌미로 애국주의를 표방하면서 소수자들 특히 이슬람계 미국인들에 대해 수많은 인권탄압을 가하고 있다. 여성문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이다. 9.11테러 이후 전개된 국제정세 속에서 서로의 상처를 다스릴 해결책은 과연 무엇인가 테러와의 전쟁은 과연 페미니즘의 죽음을 의미하는가 평화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미국사회는 어떠한 시도를 해야 하는가 현재 미국 전역에 불고 있는 반전운동이나 평화운동에는 수많은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반전을 외치면서 또한 인류의 평화를 외치면서 미국 정부가 세계평화를 위해서 일방적이고 독자적인 외교노선과 군사적 행동을 멈추기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의 기대효과는 9.11테러 이후 미국사회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여기에 부시 행정부는 여성정책을 어떻게 전개 시켜나가고 있는가를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미국 여성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는 단지 미국사회 또는 미국여성에게만 국한 된 문제가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세계 모든 여성들이 당면한 문제이기도 . 앞으로 인류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해 무엇이 필요하며 여기에 대해 여성들이 어떻게 대처해 나아가야 하는지를 미국의 경우를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맞춤형 신발 설계를 위한 발의 형태와 신체 변형에 관한 사례연구 -실버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1345251784)

    2016

    인문사회기초연구

    이호정

    부경대학교

    교육부

    14000000 (14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

    인체에서 발은 보행, 구보, 자세유지, 체중지지 등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변형된 발은 바른 보행을 어렵게 하고, 비정상적인 보행은 체형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발의 변형 원인에는 환경요인, 생활 습관, 보행 습관, 질병, 발에 무리를 주는 신발 착용 등이 있다. 발의 변형에는 발가락 변형, 아치 변형 등 여러 부위의 변형이 있다. 발가락 변형 중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는 무지외반증 변형은 심한 경우 수술을 하지만, 수술 후에도 일반 신발을 사용 시, 큰 불편을 겪는다. 무지외반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여성이 약 87%로, 수술을 받은 환자 비율도 여성이 높다. 그리고 아치 변형 중 아치가 편평한 평발 변형은 보행 중 가자미근의 작용력이 50%이상 증가하여 아킬레스건이 뒤틀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발가락이나 아치의 변형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되는 이유는, 하이힐이나 폭이 좁은 구두를 신는 등 부적합한 신발 착용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욱 불균형한 변형이 진행되어 관절 질환 및 신체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발의 변형을 유발시키는 신발을 피하고 인체에 적합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발의 형태에 따른 맞춤형 신발 설계를 위하여 발의 형태와 신체 변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실버세대들은 오랜 세월동안 부적합한 신발 착용으로 젊은 층보다 발의 변형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발의 비중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발의 형태에 따른 신체의 부위별 변형 사례를 살펴본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발의 형태에 따른 신체 변형에 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발과 신체를 3차원 인체 스캔 장비로 측정하여, 발의 형태가 신체 변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실버세대용 맞춤형 신발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실버세대 맞춤형 신발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발의 형태가 신체 변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사례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70세 미만의 실버세대 여성 50명으로 한다. 측정기구로는 3차원 인체 스캔 장비를 활용한다. 발과 신체 측정은 발의 변화가 거의 없는 오전 9~12시 사이에 실시하며, 피험자는 인체에 핏트되는 반팔 티셔츠와 반바지를 입고 맨발로 체중을 양발에 고르게 분산시킨 직립상태에서 실험에 참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에서 사용된 항목, KS 및 ISO에 정의된 항목 등을 고려하여 발과 신체 측정항목을 선정한다. 발은 길이 7항목, 높이 12항목, 너비 6항목, 둘레 7항목, 각도 4항목으로 총 36항목을 측정한다. 신체는 길이 19항목, 높이 19항목, 너비 12항목, 각도 2항목으로 총 52항목을 측정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치의 각도에 따라 발의 형태를 분류하고, 아치의 각도에 따라 신체의 어떠한 변형이 일어났는지 분석한다. 둘째, 발끝각의 각도에 따라 발의 형태를 분류하고, 발끝각의 각도에 따라 신체의 어떠한 변형이 일어났는지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치 각도에 따른 발의 형태는 발의 중심과 발꿈치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이등분선을 그어 각도를 측정하여, 15도 이하를 편평족(Flat Foot), 15도는 정상(Noraml), 15도 이상 30도 미만을 경도(Low), 30도 이상 45도 미만을 중등도(Middle), 45도 이상을 강도(Obstuse)로 분류한다. 아치의 각도에 따라 신체의 어떠한 변형이 일어났는지 분석하기 위해 평면 좌표계에 표준 체형을 놓고, 측정된 피험자 3차원 신체 모델의 길이, 높이, 너비, 각도 항목을 분석한다. 그리고 피험자들의 골반 벌어짐, O, X 다리, 발의 회내 등을 알아보기 위해 허벅지와 무릎, 무릎과 발목의 각도를 분석한다. 또한 의료현장 및 운동역학 등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편평족, 정상, 경도, 중등도, 강도의 아치 형태와 신체 변형의 관계를 규명한다. 둘째, 발끝각의 각도에 따른 발의 형태는 발끝각을 측정하여, 엄지발가락이 검지발가락 쪽으로 휜 각도가 160도 이상은 정상형(Normal Type), 160도 이하는 변형형(Deformed Type)으로 분류한다. 발끝각의 각도에 따라 신체의 어떠한 변형이 일어났는지 분석하기 위해 평면 좌표계에 표준 체형을 놓고, 측정된 피험자 3차원 신체 모델의 길이, 높이, 너비, 각도 항목을 분석한다. 그리고 피험자들의 발목, 무릎, 골반, 어깨 좌우높이 등을 분석하여 신체 균형도를 분석한다. 또한 의료현장 및 운동역

    1) 학문적 기대효과 본 연구는 실버세대 여성의 발과 신체를 측정하여 아치와 발가락을 중심으로 변형된 발의 형태에 따른 신체 변형 부위를 규명한 사례연구로, 실버세대 맞춤형 신발 설계에 필요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밝혀진 실버세대 여성의 발과 체형 유형 분류체계에서 한 단계 발전시킨 연구로, 실버세대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에 대해서도 맞춤형 신발 설계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대학, 연구소 등 교육 및 연구 주체들이 실버세대용 맞춤형 신발 개발과 상품화를 목표로 적극적인 교육 및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세계 시장의 선도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실버세대들의 발 형태와 신체 변형의 분석 결과가 지속적으로 축적된다면, 맞춤형 신발 개발뿐만 아니라 인체모델 관련 표준모델 개발의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실무적 기대효과 발 변형의 치료방법은 수술과 비수술 방법이 있다. 비수술 방법으로는 보행습관 교정이나 신발 교정 등을 들 수 있다. 신발 교정을 위한 맞춤형 신발 설계를 위해 본 연구 결과분석에서 활용된 의료현장 및 운동역학 등의 전문가 자문이 신발 기업들에게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실버세대용 맞춤형 신발기업들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신발 주문 제작 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신발 제작 단계에서 소비자의 발의 형태에 따른 신발 또는 깔창을 제작 전 단계에 먼저 시착해보고 기능성을 추가하거나 보완하여 맞춤형 신발을 제작한다면 생산적인 관점에서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아동보호 위험성 모델링(protective risk modeling; PRM) 기반 아동학대 고위험성 예측 시스템 개발연구

    (2340005141)

    2024

    인문사회기초연구

    서종한

    영남대학교

    교육부

    25554000 (25554000)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범죄를 다루는 선별 요원의 의사결정 보조 도구로서 머신러닝 기반의 아동 범죄 예측 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아동학대 문제는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잔인해지는 반면, 대응 방식은 아직 더디게 발전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아동학대 발생 가능성과 관련하여 초기에 나타나는 작지만 확실한 단서인 경고신호(red flag)를 포착했을 때 적극적인 개입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 내에서 체계적이고 타당한 평가 시스템과 관련 연구가 미비하다. 현재 국내외에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선제적 대처 방안과 관련하여 빅데이터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머신러닝 기법과 인공지능을 토대로 기존에 축적된 학대 피해 아동 사례 데이터를 학습하여 알고리즘을 구축하고 결과 확률을 예측하는 아동보호 위험성 모델(PRM)이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본 연구 프로젝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PRM 기반의 아동 위험 선별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영유아, 아동, 어린이, 청소년이 직면한 학대 위험성을 조기에 선별하여 그들의 안녕을 도모하고 국내 상황에 적합한 아동복지 및 보호 시스템의 재정비와 활용 가능성을 목적으로 둔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해서 구축된 알고리즘은 초기 선별 과정에서 해당 아동이 개인 맞춤형 개입이 필요한 프로파일에 부합하는지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아동보호 위험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하고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권고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 기법인 머신러닝과 보험계리적 접근 방식은 학대 위험성에 대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판명하기에 우수하기 때문에 임상적 판단에 의존할 때보다 체계화, 객관화된 위험성 등급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개발 도구를 통해 아동복지와 관련된 실무가와 전문가들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인적 자원 절약과 효율적인 복지 체계에 기여한다. 즉 아동을 폭력 위험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공공인력의 과도한 업무량을 줄여 초기 선별과정이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공공 인력이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 국내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발달생태학적 체계 이론에 따른 근거와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아동학대의 증가 패턴을 설명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감소 패턴을 설명할 수 있는 보호 요인을 선정할 것이다. 그중에서 실제 학대에 기여하는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국내에서 시행 중인 기존 체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대안적 시스템으로서 향후 2년 이내 프로그램의 실용화를 계획한다. 결과적으로 국내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아동보호 위험성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아동보호와 관련된 공적 책임이 강화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심화되는 아동학대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근절는 데 그 목적성을 둔다.

    I. 1년차 연구계획 먼저 아동보호 위험요인을 선정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에 따른 문헌을 검토하고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발달생태학적 체계 이론, 아동학대 메타분석 선행연구, 아동보호 위험성 모델링과 관련하여 북미 등 국외 세부 문헌을 검토하고, 아동학대 모델링 관련 실무 적용 이론을 분석한다. 특히 미시체계, 중간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연결망(social network)의 장기적 영향을 중점적으로 탐색하기로 한다. 나아가 아동학대 증가 패턴을 설명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아동학대의 감소 패턴을 설명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한다. 구체적으로 요인 추출, 요인 점수화, 요인 축소 및 분류를 통한 데이터 정리 및 마이닝을 거쳐,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추정하고, 학습 및 타당도 검증을 진행, 구축된 머신러닝 시스템의 정확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거쳐 아동 범죄 예측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후 국내외 관련 기관에 방문 및 상호교류하며, 국내 유관기관을 선정하고 자료수집을 계획한다.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학대 전담 부서, 검찰청/경찰청 여성청소년계 아동학대 부서 데이터베이스, 수사기관 정보망 시스템(KICS, SCAS 등), 의료 기록 등을 요청한다. 그중 만 18세 미만의 과거 및 현재 학대 피해 아동 약 10,000여 명의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수집한 자료의 70%는 훈련 단계, 30%는 검증 단계에 활용한다.Ⅱ. 2년차 연구계획 자료 수집을 실행하고, 국내에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해 자연어 처리 분석을 통한 요인 점수화, 데이터마이닝을 진행한다. 자연언어를 의미 있는 숫자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앞서 선정된 요인을 토대로 사례 자료를 수집한 후 관계성에 따라 수치화하고 요인축소 및 분류 단계에서 구체화 및 점수화한다. 이 때 수집된 자료를 중심으로 GSCA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을 작업한다. 이후 파이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머신러닝의 다양한 기법들(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을 탐색한다. Naive Bayes, SVM이 실무에 적용했을 때 정확성이 높다는 강점에 따라 해당 알고리즘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이후 다양한 유형의 학습을 시도하여 최적의 알고리즘을 선택한다. 이후 베이지안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머신러닝을 학습 및 추정하는 방안을 모색한다.Ⅲ. 3년차 연구계획 구축된 알고리즘의 타당성 확인을 위해 수집한 자료의 30%를 적용하며, 협력 기관 내 알고리즘 기반 망 체계의 구현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가와 협의한다. 특히 기관 협조를 받아 정보망 시스템을 재구축하고 12개월 동안 발생한 사건에 대한 실제 발생 여부로 예측 일관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이에 따라 해당 시범 운영 테스팅 후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계산하는 사후검증을 시행한다. 다음으로 구축된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계산하여 머신러닝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평가할 것이다. 학습된 모델이 편향되지 않고 정확하게 사례를 판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K-fold cross validation, Repeated K-fold, Leave One Out, Leve P out, Shuffle Split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나누고 성능평가지표를 계산한다. ROC 곡선을 통해 예측 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추정한 모형 및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의사결정 모형을 최종적으로 구축한다. 이후 마지막 단계로서 한국형 아동보호 위험성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의 실무 적용과 확장 방안을 검토한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 연계 및 상호협력 교류했던 선별 요원들의 세부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매뉴얼과 프로토콜을 수정한다. 또한 실무자에게 전문 교육과 슈퍼비전을 실시하여 범죄예방 및 관리전략을 수립하는 등 기관별 차등 적용 버전 구축을 마련한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전문가 수준의 판단을 바탕으로 위험성 평가 프로토콜을 수립한다. 따라서 일선에서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정보력에 따라 즉각적으로 전문적인 판단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을 보유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시 말해, 아동학대 초기선별 과정에서의 자동화와 단축화가 가능하므로 일차적으로는 영유아, 아동, 어린이, 청소년의 학대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아동학대의 선제적인 예방을 도모한다. 특히 아동학대 의심 대상으로 예측되는 경우 아동보호 전문기관 등에 공적 조사를 의뢰하도록 하고, 그중에서도 고위험 등급으로 판별되면 즉각적인 조사와 보건, 복지, 보호, 교육, 치료 등의 공공 서비스를 연계한다. 이를 위해 일선 현장 시무자에게 전문 교육과 슈퍼비전을 실시하여 학대범죄 예방 시스템 활용 및 관리전략을 수립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알고리즘에 의존하기보다는 아동복지 관련 담당 근로자의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도구 및 추가 정보로써 활용하도록 한다. 즉 아동보호를 위한 공공인력을 보조함으로써, 해당 인력에게 부여되는 과도한 업무량을 줄여주고 학대 피해 아동 관리, 폭력 예방 전문가를 육성하여 관련 전문가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행정력을 더욱 집중할 수 있다. 이후 공공 서비스와 연계하여 훈련된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초기 선별 과정에서 해당 아동의 프로파일을 확인한다. 실무자의 피드백을 조사하여 타당성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며 매뉴얼과 프로토콜을 반복 개선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근거기반의 연구를 축적한다. 특히 법원 기록, 경찰 수사 기록 등의 정보망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추가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아동복지 서비스 시설 및 국가 수사기관 간 계약을 체결하여 향후 2년 이내 본 프로그램의 실용화를 계획한다. 이후 아동학대 범죄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 영역/분야의 정신건강 전문가, 학교 및 교육기관 관련 공무원, 재판 과정에 참여하는 사법기관 관련 공무원 등의 실무자에게 개선된 교육 및 슈퍼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국내외 차세대 연구자(대학원생, 연구원, 연구보조원 등)와 실무자가 상호교류하며 문제해결 중심의 전문가 인적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다. 확장된 집단을 대상으로 효과검증을 시행하고 연구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한국형 아동보호 위험성 모델 기반 시스템의 활용 증진을 도모한다.

  • 전통김치 생산라인의 공정최적화를 위한 복합설비개발

    (1425054945)

    2009

    생산환경혁신기술개발

    유선우

    한국생산성본부

    중소기업청

    160000000 (278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최종목표 본 과제는 “전통김치 생산라인의 공정최적화를 위한 복합 설비개발”의 보급확산과제로서 기존 개발장비를 개선하여 효율향상을 최종목표로 합니다. 본 기술개발을 통해 완성될 초음파 세척장치는 품질향상 및 생산성향상, 원가절감 등 종합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김치 브랜드의 이미지 강화로 소비효과 증대는 물론 수출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기능] 개발예정인 장치는 다음과 같은 주요기능을 갖도록 한다. ㆍ절임배추 잎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 ㆍ초음파장치를 부가하여 미생물 및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 ㆍ세척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세척수 리사이클링 기능 ㆍ노즐 역할을 향상시켜 배추의 이송효율을 증대시킨 기능 [주요 내용] ㅇ장비개발 내용 및 범위 (1) 1차 세척기 Air Blower, 세척 탱크 Unit, 걸음망 Unit, 배출 컨베이어, 노즐 및 파이프 (2) 2차 세척기 Air Blower, 세척 탱크 Unit, 걸음망 Unit, 배출 컨베이어, 노즐 및 파이프 (3) 정선용 2단 컨베이어 컨베이어, 작업 테이블 및 선반 (4) 수동 세척 탱크 세척수 저장 탱크 (5) 전기 및 콘트롤 장치 Unit별 조작 및 제어장치 ㅇ추가개발 핵심내용 (1) 초음파 장치 - 진동자(TRANSDUCER) - 진동자 보호대(TRANSDUCER CASE): SUS-304 - 전류지시계(AM-METER, LOADING CURRENT) - 출력조절기(POWER CONTROL) (2) 세척수 리사이클링 장치 - 세척수 집수조 : 수동세척 및 2차 세척기의 세척수 집수 - 콘트롤 밸브 : 집수 세척수의 1차, 2차 세척기로 보내는 세척수 량 및 방향 제어 - Pump 및 배관 : 세척수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 및 배관 (3) 노즐 효율향상 장치 - 노즐 커버장치 : 이물질 방해 제거 - 물 흐름이 원활하도록 노즐 구경 및 방향 재설계▣ 개발내용[개발시스템 세부 내용] (1) 1차 자동에어 세척기 / 2차 자동에어 세척기 ㅇ용도 엽채류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계로서 절임배추를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자동 이송되면서 세척 및 탈염이 되고, 부상(浮上)이물질은 걸름망에서 자동으로 배출시키며, 침전(沈澱) 이물질(모래, 흙, 돌 등)들은 중간막이 Plate 아래로 가라앉게 하여 이물질을 분리시킴. 세척이 된 절임배추는 세척기의 배출 컨베이어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배출되고 이 때 배출망 상부에 설치한 샤워기에 의해 살수되어 더욱 청결한 세척이 되도록 해 줌. ㅇ구조 - Air Nozzle : 하부에 3줄×28EA=84EA 부착(노즐높이 50mm) - Drain Valve : Ball Valve 50A - 급 수 : 40A - 분사 Nozzle : Ø4 (급수 Pipe 내 40mm간격으로 타공, 2개 PIPE에 2줄로 타공하여 분사) - Nozzle 분사 수압조절은 세척수 공급관에 설치된 수동 볼밸브(40A)로 조절함. - Valve : Ball Valve(SUS 316 50A) - 전체 Line 배관재 : SUS 304 구조용 배관(외부 연마 #80) - Over Flow 방법 : 자연이송 - 초음파발생장치 : 2개소 장착(추가 개발 항목) ㅇ처리사양 - Conveyer Speed : 15m/min - 처리능력 : 1,000통/hr - 용 수 량 : 8ton/hr(2) 정선용 2단 컨베이어 ㅇ용도 배추 정선 작업용으로 하부 세척탱크 미정선 제품 입고.상부는 정선 제품 배출 ㅇ구조 - SUS304 사각Pipe 50 × 50 × 1.5t - 모터 - 상 : 0.75KW 30:1, 하: 0.75KW 30:1 + 인버터장착 - 정선용 위생도마판 부착 (탈착식)(3) 수동 세척 탱크 ㅇ용도 3차 수작업 세척 및 검수용 탱크 ㅇ구조 - 후레임 : SUS304 Plate H/L 2.0t - 밸 브 : SUS304 볼밸브 - 2"(4) 세척수 리사이클링 장치 ㅇ용도 세척수를 재사용하여 에너지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 ㅇ구조 - 집수조 Part : Sus Tank - SUS304 Plate 1.5t, Mesh Screen - SUS304 Mash 10 x 10 - Sensor Part : SUS304 Plot Ball Type Sensor - 배관 Part : SUS304 Pipe 50A, SUS304 Ball Valve 50A - Pump Part : 출력 0.75kW, 전양정 18M, 최대양수량 20,400L/hr, 파이프 경 50A(5) 노즐 효율 향상 장치 배추 잎 등 이물질이 노즐을 막아 탱크내에서의 물 흐름이 막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 상부에 커버를 설치하여 효율을 향상 시킴

    [대상기술의 특성 및 범위] 일반적인 전통 배추김치의 생산공정을 살펴보면 크게 7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유입된 배추를 이송 및 손질 → 이절작업 → 배추절임 → 절임배추 1차세척 → 2차세척→ 배추 속 넣기 → 제품숙성의 공정으로 완제품이 만들어진다. 물론 각 공정별로 세부적인 공정이 추가되어 전체 공정이 구성되지만 이 공정중에서 절임공정, 세척공정, 속넣기 공정이 중요하다. 절임공정은 이절된 배추가 균일한 농도의 염수에 적절한 시간동안 담겨 있느냐에 따라 맛에 영향을 미치는데 최근 염수 자동공급 및 농도조절장치를 사용하여 품질이 많이 표준화되고 있다. 세척공정은 2006년도 본 사업에서 개발한 자동세척장치를 통하여 세척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김치 제조산업에 보탬이 되어 왔으나, 미세한 이물질 및 기생충은 배추 잎으로부터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만을 가져왔고 해외 소비자들에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세척공정에서 사용하는 세척수의 양이 많아 제조원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폐수처리 비용도 추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사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기존에 선도과제에서 개발된 세척장치에 초음파장치를 부가하여 미세한 이물질 및 기생충을 제거하여 품질을 향상시키고, 세척수 리사이클링 장치를 추가하여 세척수 사용량을 절감하고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개발 필요성]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는 직장여성의 증가, 주거환경의 변화,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 상품김치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 한류 열풍으로 동아시아에서는 김치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국제식품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영세한 중소기업체로서 연구개발능력이 부족하고 현장에서 체계적인 제조방법이 확립되지 않아 생산지역, 계절별 및 기후에 따른 김치품질이 균일하지 않은 실정이며, 저가의 중국산 김치의 국내시장 공세가 갈수록 거세어지고 있다. 특히 2005년 11월 국내 김치류 생산업체의 배추김치 기생충알 파동 이후, 많은 업체들이 휴ㆍ폐업했으며, 한국김치ㆍ절임식품공업협동조합 자료에 의하면 2008년 1월 현재 김치 생산업체는 514개로 나타났다. 이 중 연간 20억 원 이상의 매출액을 올리며 50명 이상의 종업원을 고용한 업체는 약 50여 개로 전체의 8% 정도로 이들의 생산량은 전체 국내 생산량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 김치산업의 문제점으로는 원료수급, 제조업체 영세성, 낙후되거나 조악한 설비, 판매와 유통시스템과 연구개발의 낙후 등을 들 수 있다. 원료수급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원료의 안정적 공급이나 기후적요인 등 자연환경에 의한 작황의 불안정, 장기저장이 곤란한 채소의 특성, 농산물 유통체계의 후진성으로 인하여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이 확보되지 않아 김치산업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다. 또한, 제조업체의 영세성과 설비의 후진성자본금이 10억 미만인 업체가 90%에 달하는 김치업체의 영세성, 제조설비의 성능과 재질이 경쟁국인 일본에 비하여 그 생산력이나 효율성이 낮다. 판매와 유통김치는 관능적, 저장적 특성상 냉장유통이 필수적이나 유통 및 저장시스템의 열악성과 냉장 즉 콜드시스템의 미비로 인하여 일정한 품질의 김치공급이 어렵다. 그 결과 저품질, 고가격, 공장김치에 대한 불신 등으로 소비자의 불만이 높다. 또한, 연구개발의 낙후성과 많은 김치생산 업체가 중소기업이나 농민단체인 관계로 주먹구구식 생산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이나 연구기관을 중심으로만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김치의 기초연구, 김치의 저장성, 김치의 제조기술 및 제조설비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과제는 상기한 제조공정중 세척공정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자동세척기를 개발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미세 이물질 및 기생충의 완벽한 제거는 현재 개발된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사업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초음파장치를 부가한 자동세척장치와 세척수 리사이클링장치 개발로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ㆍ초음파 세척장치를 개발하여 배추 잎 표면에 부착된 미세 이물질 및 기생충 제거로 품질향상 ㆍ세척수 리사이클링장치를 개발하여 세척수 사용량 저감 및 원가 절감 ㆍ세척수 사용량 절감으로 폐수발생량 저감 및 처리비용 절감 ㆍ세척공정 공수 절감으로 작업인력절감 ㆍ품질의 균일화로 상품 이미지 개선 및 수출 증대

    [개발효과] 본 연구 개발과제의 성과물로서 초음파 세척장치와 세척수 리사이클링장치는 성능평가를 통해 신뢰성 및 효율성이 입증되어 관련업종에 보급ㆍ활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파급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ㅇ기술적측면의 개발효과 ㆍ절임배추의 세척장치 개발로 작업공정의 개선 및 자동화로 품질향상 및 생산성향상 ㆍ초음파방식의 부가장치 추가 개발로 배추, 무, 오이, 야채 등 채소류 및 과일 세척시에 미세 이물질 및 기생충 등을 제거하여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함 ㆍ세척을 필요로 하는 식품제조공정에서 세척수의 절감과 재사용이 가능한 세척수 리사이클링 기술 확보 ㅇ경제 산업적 측면의 개발효과 ㆍ일본, 중국 등 동남아권의 국내업체 또는 해외업체에서의 김치공장 설립에 따르는 수출물량 증대 ㆍ미세이물질 및 미생물의 제거로 김치 브랜드가 고급화되어 일본 및 유럽으로의 김치 수출 증대가 예상 ㆍ자동화장치 개발로 공정이 개선되어 인력절감, 세척수 사용량 감소, 폐수 발생량 감소 등으로 원가절감 ㆍ세척설비의 개발로 기존의 단순반복 작업에 따른 높은 노동강도와 근골격계질환 발생 등의 열악한 작업환경 개선 ㆍ정부의 HACCP 인증 강화정책에 대처 가능[활용방안] ㅇ활용분야 본 과제의 개발결과 배추 및 무, 오이, 당근, 야채 등의 채소류를 취급하는 관련분야의 제조업체에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공정 적용 및 활용으로 보다 깨끗한 채소류를 섭취할 수 있는 국민 식생활 개선이 가능하고, 세척수 재활용 시스템으로 물 부족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산업 전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여 관련기술이 보급ㆍ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ㅇ활용방안 본 과제에서는 전통김치 및 채소류를 취급하는 업체의 요구사항과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여 해당공정이 최고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이 되도록 개발하되, 기존 제조공정에 비해 생산성 및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관련업종에 활용성이 높은 동일계열의 모든 채소류관련제품에 이용할 수 있는 세척공정의 설비를 개발함으로서, ㆍ공정상의 품질문제를 해소하고 이에 따른 원가개선으로 관련업종으로의 확산을 도모하며, ㆍ성능평가를 통한 성과물의 품질과 신뢰성을 입증하여 참여기업에 보급 활용하도록 하고, ㆍ관련 업체에 대한 개발기술을 보급, 활용토록 함으로서 국내 업종에 무관하게 세척 관련분야 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 기본폴더

  • 스크랩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