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해결플랫폼

사회문제해결 R&D 성과체감도 향상을 위한 사회문제 인식변화 조사

페이스북 바로가기
사회문제해결 R&D 성과체감도 향상을 위한 사회문제 인식변화 조사
- 김효재,하현아이희권 -

요 약

 본 조사는 일반 시민과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내 사회문제 및 과학기술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내용으로 이를 통해 사회문제해결 R&D 성과 체감도 향상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일반 시민이 실질적으로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폭넓게 모색하고자 함

 일반 시민은 현재 사회문제를 심각한 수준이라 인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기술의 문제해결능력과 해결가능성은 일반시민/전문가 모두 ‘높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역할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

 일반시민은 사회문제에 대해 꾸준히 높은 관심도를 보였으며 대다수의 일반시민은 사회문제 해결과정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시민 참여 방식에 대한 다양한 방안과 기회 확대가 요구됨


Ⅰ서론


🌱 국민이 체감하는 사회문제해결 R&D 성과 체감 중요도 상승

 국민행복을 위한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 강화 요구 증대에 따라, 이를 위한 제도적 지원과 성과확산을 위해 『과학기술기반 국민생활문제(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18~’22)』을 수립하고 추진함

 2차 종합계획 수립과정에서는 그간 실질적 수요자인 국민이 체감하는 문제해결 성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국민 및 전문가의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실질적 수혜자인 국민의 수요를 연구기획에 반영하고자 노력했음

 본 조사는 일반 시민과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내 사회문제 및 과학기술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내용으로 이를 통해 사회문제해결 성과 체감도 향상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일반 국민이 실질적으로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폭넓게 모색하고자 함 

🌱 우리나라 사회문제 및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 실시

 본 조사는 2018년과 2021년에 시행한 설문 결과를 비교 조사한 내용으로 ‘사회문제’와 관련된 일반 시민・전문가의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 및 과학기술을 통한 문제해결수요 변화,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여론 등을 관찰하고, 사회문제의 개념 정립, 이슈발굴, 정부의 정책에 대한 여론을 관찰하고자 함

 또한, 이런 변화된 의견을 수렴하여 사회환경을 반영한 제3차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현황분석의 자료로써 과학기술정책의 방향, 추진목표, 중점추진과제 등을 구체화하는데 활용하고자 함

🌱 시민/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의견 조사 필요

 정책 수립 참여 측면에서 근본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수요자이면서 해결의 주체가 되는 일반 국민의 의견뿐만 아니라 사회문제해결 R&D에 참여하는 전문가의 의견도 중요함

 비교 조사를 통해 변화된 국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정책적인 방안 및 사회문제해결 국민체감도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Ⅱ 조사 방법


🌱 조사 개요

• 
(조사 대상) 시민 및 전문가 대상의 사회문제 인식 조사는 일반 시민과 사회문제해결형 R&D 참여 연구인력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통해 자기기입 방식으로 진행함

 - (일반 시민) 전국 만20세~만 69세 성인 남녀 1000명, ㈜ 엠브레인퍼브릭 패널

 - (전문가)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전문가 128명 (2021년) / 432명 (2018년)

• 
(조사 시행) 전문 기관을 통해 온라인(웹 방식) 설문조사를 시행함

 - 조사기관 : ㈜엠브레인

 - 조사 기간 : 2021년 10월 19일- 12월 03일 / 2018년 3월 15일- 4월 20일

 -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웹 방식) 설문조사

• 
(사회문제) 설문문항 주요 조정 내용

 - 2021년 설문문항은 2018년 기존 설문 문항의 계속성을 유지하되, 제2차 종합계획 이후 추가 보완된 ‘사회문제분야’를 반영하기 위해 다소의 조정을 실시함

 - 2018년 주요 사회문제 분야 중 ‘정신질환’ 분야가 2021년에는 ‘정신질환/지적장애’로 확대됨

 - 2018년 주요 사회문제 중 ‘의약품안전’, ‘전자감시’, ‘이용약자 편의부족’은 2018년(3월) 시행한 일반시민대상 사회문제영역 설문조사의 사회문제영역별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제외됨

 - 또한, 2018년 설문 결과의 사회문제영역별 심각성과 시급성을 고려하여 ‘가상증표(통화) 부작용’, ‘소방안전’이 추가되었으며 2019년 사회적 수요를 반영하여 ‘미세 플라스틱’ 문제영역이 신규 추가됨
 

<표 1> 조사 시 제시된 사회문제 영역 비교


• (조사 항목)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문제 및 해결에 대한 인식

 - 인식조사 내용은 관심도, 심각도, 현실가능성, 만족도, 참여도 크게 5개로 주요 이슈별로 구성함

  : (관심도) 우리나라 시민들의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정도

  : (심각도) 우리나라의 사회문제에 대한 심각성 정도

  : (현실가능성)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비중 및 해결 가능성

  : (만족도) 우리나라의 사회문제 및 관련 정책에 대한 만족도

  : (참여도)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일반시민・전문가의 참여도

 - 응답자 정보 : 거주지 / 성별 / 연령 / 학력
 

<표 2> 일반시민과 전문가 설문항목 비교



 🌱 일반시민 대상 조사 참여자 특성

• 2018년 및 2021년 주요 사회문제에 대한 일반시민의 인식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20~60대 성인 남녀(일반시민) 1000명으로 구성된 ㈜ 엠브레인퍼브릭 패널(성/연령/지역에 따른 인구비례할당으로 구성)을 통해 진행되었음 

<표 3> 일반시민 대상 설문참여자 연도별 특징 비교


• 2018년, 2021년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수는 총 1000명으로 동일하나 2021년 응답한 참여자의 학력 중 ‘대학원재학/졸업’자의 수가 2018년 대비 2.6% 증가하고, ‘고졸’ 비율이 3.9% 높아짐

 

 🌱 전문가 대상 조사 참여자 특성

• 전체 응답자는 2018년 432명에서 2021년 128명으로 감소하였으며, 2021년 조사에서는 전문 분야 중 ‘문화여가’, ‘교통’이 제외됨


 2018년, 2021년 모두 학계의 참여율이 높았음. 2018년도에는 ‘생활안전’, ‘건강’, ‘환경’ 분야 등에서 고른 참여율을 보였고, 2021년에는 ‘환경’ 분야 참여율이 33.6%, ‘건강’ 분야 18.6% 특정 분야에 치중되는 경향을 보임

 2021년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는 총 128명으로 산업계 14.1%, 학계 51.6%, 연구계 28.1%, 기타 6.3% 참여함

 연령별로는 2018년의 경우 40대가 42.0%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35.9%를 차지했던 반면, 2021년 조사에서는 50대 46.1%, 40대 26.6%, 60대 이상이 23.4%로 참여자의 평균 연령이 높아짐


<표 4> 전문가대상 설문참여자 연도별 특징 비교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자료활용 시 출처를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