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

  • 검색건수

    • 121,745건

전체

  •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연계형 빅데이터 활용

    (1465026503)

    2018

    연구소및국가암관리사업본부운영(R&D)(주요사업비)

    공선영

    국립암센터

    보건복지부

    161500000 (1615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6) , 연구보고서(1)

    1) 다기관 연계형 암 빅데이터 시스템 시범 구축(구축된 중앙암등록본부,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청 등 연계형 암빅데이터의 데이터 보완) - 중앙암등록본부,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청 등 연계형 암 빅데이터 시스템 추진체계 구축 - 기 구축된 연계형 암 빅데이터의 운영 및 유지관리 - 유방암 유전체 기반의 빅데이터 연계체계 구축 2) 연계형 암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보 분석과 모델링 등 정보활용 - 암환자/암생존자의 현황분석 - 건강관리 현황 파악 및 진료지침 효과 평가 3) 암환자의 참여를 위한 한국형 환자 성과 보고 체계 개발 - 맞춤의료, 암발생 예측, 암발생 지도 등 개인-연구자 등 맞춤형 데이터에 관한 전문가 의견 청취 - 암환자의 참여를 위한 한국형 환자 성과 보고 체계 개발 4)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 ICGC 활동 및, 향후 ICGCmed 협력을 통한 국제협력 - 국내 빅데이터/정밀의료 전문가 자문단 구성 및 자문회의를 통한 협력을 추진 5) 유전체 역학 코호트 자료 연계 - 한국인칩(k-chip)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 시행 - 분석된 유전체 역학 코호트 자료 연계 주친

  • 새로운 억제유전자 LLC-1의 폐암발생과정에서의 역학구명

    (1460001295)

    2005

    국립암센터연구소지원

    홍경만

    국립암센터

    보건복지부

    130000000 (130000000)

    「연구개발성과」 : 특허(2)

    SAGE 분석을 통하여 14가지 발현이 달라지는 유전자를 찾았는데 이들은 MUC5B, PLUNC, GAPDL4, AQP5, TSC, SERPIND1, XAGE1, AZGP1, WFDC2, VCC1, CAPS, and three hypothetical 유전자들임. 폐선암과 정상폐조직을 가지고 real-time PCR방법으로 이들의 mRNA 발현양을 비교한 결과 PLUNC와 XAGE1의 발현이 폐암에서 증가되어 있었고 하나의 hypothetical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양은 정상조직에 비해 유의하게 차이가 없었음. 폐암에서 PLUNC와 XAGE1의 과발현에 대해서는 이미 발표가 되어 있어서 (Iwao et al., 2001; Wang et al., 2001), 우리 실험에서는 이전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한가지 hypothetical 유전자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LLC-1 (Lost in Lung Cancer-1) 으로 명명하였음. LLC-1의 발현은 16 가지 폐암 조직과 이와 같이 절제된 정상폐 부분의 조직에 대해 real-time PCR을 시행하였는데, 9개의 폐암에서 유의한 발현감소를 보였음. 이에 9가지 폐암세포주에 대해 realtime PCR을 시행하여 LLC-1의 발현을 다시 확인하였는데 H520 세포주에서 암이 아닌 폐조직의 발현양에 비해 2.3% 정도 발현되고 나머지 세포주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음. LLC-1 mRNA발현을 LLC-1유전자를 probe로 사용하여 RNA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확인하는 실험을 18개 비소세포폐암 (9개 선암, 9개 squamouse carcinoma)에서 시행하였음. 염색pattern에 의하면, LLC-1의 발현은 정상조직의 상피세포에 국한되어 발현되고 9개 모두의 선암세포조직과 9개중 8개 squamouse carcinoma조직에서 발현이 되지 않았음. 한재의 squamous cacinoma 조직에서 LLC-1이 약하게 염색되었으며 difuse한 염색 pattern을 보였음. LLC-1의 발현은 1개의 squamouse carcinoma 조직 주위와 4개의 adenocarcinoma 조직주위에 존재하는 정상조직의 epithelial cell에서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음. 대조염색으로 사용했던 vWF message는 예상했던데로 혈관세포의 endothelial cell에 국한되어 발현되었으며 그 양상은 정상조직과 암조직에서 차이가 없었음 대부분의 폐암세포주와 일차 폐암조직에서 Q-PCR과 in situ hybridization 실험결과는 LLC-1이 암억제유전자일 가능성을 시사함. 따라서 LLC-1의 발현이 줄어드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LLC-1 promotor methylation여부를 관찰하였음. 먼저 H1299와 H358 세포주의 gDNA를 sodium bisulfite처리하고 promotor site를 sequencing하여 모든 CpG island에 methylation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MSBE assay를 고안하여 promotor site의 methylation 정도를 evaluate할 수 있도록 하였음. 이 assay의 결과 7가지 폐암세포주에서 methylated peak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LLC-1의 promotor methylation이 증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LLC-1 의 promotor methylation이 폐암에서 LLC-1 발현의 감소 원인일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음. 또한 LLC-1 promotor methylation과 LLC-1 발현의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demethylating agent인 5-aza dC을 처리하는 실험을 실행하였음. 세포주 3가지에 5-aza dC을 처리한 후 LLC-1 promotor methylation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LLC-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LLC-1 promotor methylation이 LLC-1 발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음 LLC-1의 기능에 대해 연구하고자 폐암세포주에 LLC-1을 과발현시켜서 세포의 성장을 비교하였음. H1703, H358, H128세포주에서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PARP의 fragmentation이 증가한다는 것도 확인함으로써 LLC-1은 폐암세포주에서 apoptosis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음. 재조합 LLC-1을 정제하여 생쥐에 세 번 면역하고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sp2 myeloma세포와 융합하여 hybrodoma 세포를 만들고 이들이 생산하는 단클론 항체를 스크리닝하여 LLC-1의 특이항체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만들어진 모든 단클론항체는 다른 성분들과 cross reaction이 있어서, 현재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 중에 있음. LLC-1의 정상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LLC-1이 결여된 knockout mouse model을 확립하고자 하였음. 먼저 생쥐 LLC-1의 BAC clone셋을 확보하여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BAC clone에 13kb insert이 들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 insert을 정제하여 세가지 primer set를 이용하여 specific sequence가 들어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으며, 현재 이 clone을 vector에 cloning 하고 있음

  • 인체고형암의 유전체 분석 및 대장암의 예후, 진단 인자 발굴

    (1460001182)

    2006

    국립암센터연구소지원

    정승용

    국립암센터

    보건복지부

    410000000 (41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3)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radiosensitivity 혹은 radioresistance 관련 유전자의 선별 1) 직장암 환자의 임상시료의 수집 -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전 biopsy 샘플을 수집 한 후, 방사선치료 후 반응에 따라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분류한다. 2) 직장암 환자의 biopsy 샘플로부터 암세포의 분포를 확인 한 후,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동결시킨 샘플을 잘 homogenization 시켜 Trizol reagent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분리 한다. 3) 분리된 RNA를 정제하고, gel을 이용하여 quality를 확인한 후 정량한다. 4) Ethanol precipitation으로 RNA를 농축 시킨 후, double-strand cDNA를 합성한다. 5) 합성된 cDNA를 정제하고 다시 ethanol precipitation을 수행한다. 6) In vitro transcription kit를 사용하여 혼성화 반응에 필요한 cRNA를 합성한다. 이때, RNA에 biotin labeling이 일어나며, 양이 증폭된다. 7) 합성된 cRNA를 정제한 후 다시 gel을 이용하여 quality를 확인하고 정량하여 95℃에 서 35분간 절편화 반응을 수행한다. 8) 절편된 cRNA에 control oligos, herring sperm DNA, BSA등을 혼합하여 45℃에서 약 5분간 미리 반응시킨다. 23,000여 개의 전사물로 구성된 고집적 마이크로어레이인 U133A GeneChip를 45℃에서 약 10분간 혼성화 반응액에 반응시킨다. 9) 준비 된 cRNA 혼성화 반응물을 microarray에 16시간 동안 45℃에서 혼성화 반응을 일으킨다 10) Staning 및 antibody solution을 준비하여 fluidics system에 미리 입력된 program을 실행하여 washing, staining을 하고, scanner에 장착시켜 scanning image를 얻는다. 11) 이미지 분석으로 생성된 intensity data로 global normalization을 수행한다. 12) Bioinformatics tool (Affymetrix Data Mining Tool, GeneCulster 2, PAM)을 이용 하여 방사선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에서 차등 발현된 유전자를 선별한다.BRAF 올리고 칩의 제작 및 beta-catenin 및 K-ras 올리고 칩의 상호 보완성 테스트1) BRAF 유전자의 돌연변이 상태를 기존의 논문 및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사2) BRAF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집중되는 엑손 11, 15의 hot spot codon 선택3) 각 코돈의 빈발 가능성이 높거나 이미 보고된 돌연변이 타입에 대한 올리고 제작4) 제작된 올리고를 DHPLC 장비를 통해 검사를 한 후 칩에 집적5) 준비된 대장암 시료의 DNA 를 증폭한 뒤에 만들어진 BRAF 칩과 반응시킴6) 반응된 BRAF 칩의 결과를 형광 scanner로 검사한 뒤에 기존의 자동 염기 서열분석 방법과 비교 검토7) BRAF 칩의 실험조건과 beta-catenin 및 K-ras 유전자 칩의 조건을 동일하게 만드는 작업을 수행8) beta-catenin - BRAF- K-ras 유전자를 한꺼번에 같이 검색할 수 있는 칩을 이용하여 대장암을 비롯하여 여러 인체 고형암의 돌연변이를 검사 대장암 조직을 통한 SNP array분석 및 copy number 차이 규명 1. DNA preparation 2. Xba I digestion 3. Adaptor ligation 4. PCR 5. PCR purification with Qiagen MinElute 96 UF Plate 6. Fragmentation 7. Hybridization 8. Washing, Staining, and Scanning 9. Data Analysis (GTYPE)

  • 최현일

    (전남대학교/전남대학교/전남대학교/한국미생물학회/미국 연구소 (NIH)/서울의대 의학원/한국노화학회/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생명과학연구소, KIST/Odense U (Mol. Biol.), Denmark)

    박사

    분자유전

    논문 (48/48)

    지식재산권 (18/18)

  • 김민경

    (웰펩(주))

    석사

    기타자연과학

    논문 (0/13)

  • 최진호

    (이화여자대학교/대한민국학술원/Qingdao University/대한민국학술원)

    박사

    화학공학

    논문 (1273/1273)

    지식재산권 (52/52)

  • 미세환경과 항암제 개발전략에 대한 개요

    2011

    학술지

    김인산

    제27회 정복포럼 미세환경 제어를 통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미세환경과 항암제 개발전략에 대한 개요

  • 천일염으로 제조한 된장의 세포 성장 억제효과

    2010

    학술지

    이선미; 장해춘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된장제조 시 사용되는 소금의 종류(천일염, 정제염)를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을 각각 2개월, 16개월 동안 숙성시켜 소금의 종류 및 발효기간에 따른 된장의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2개월 숙성 된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모두 정상세포 BJ에 대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세포성장효과를 지니는 반면 2종의 세포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최대 처리농도인 1 mg/mL에서 AGS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41%, 메탄올 추출물은 29%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은 물 추출물에서 29%, 메탄올 추출물은 32%의 억제율을 보였다. 동일 농도에서 HT-29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40%, 메탄올 추출물은 26%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의 물,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24%, 27%의 억제율을 보여 AGS와 HT-29에 대해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천일염과 정제염을 첨가하여 제조한 16개월 숙성 된장의 각각의 추출물의 경우도 모두 정상세포 BJ에 대해 세포성장효과를 보였으며 특이적으로 세포 AGS와 HT-29에 대해서는 성장억제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소금의 종류에 따른 된장추출물의 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최대 처리 농도인 1 mg/mL로 비교해 보면 AGS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50%, 메탄올 추출물은 36%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의 물 추출물은 32%, 메탄올 추출물은 42%의 억제율을 보였다. 동일 농도에서 HT-29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메탄올추출물은 각각 44%, 30%의 억제율을 보였고, 정제염된장의 물,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32%, 35%의 억제율을 보여 16개월 숙성 된장의 경우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이 세포 성장억제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2개월 숙성 된장에 비교해 16개월 숙성 된장의 추출물이 항암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AGS에 각 된장의 물 추출물을 최대 1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apoptosis 유발 여부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교해 모든 실험구에서 apoptosis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천일염된장의 물 추출물(7.00${\pm}$1.15cells)이 정제염된장의 물 추출물(3.00${\pm}$1.15 cells)보다 AGS에 대한 억제효과 및 apoptosis 유발이 더 높게 나타나 위결과로 볼 때 천일염된장이 매우 뛰어난 항암효과를 지님을 알 수 있었다.

  • 한우 송아지의 성성숙 전 유지 단백질 요구량 결정

    2011

    학술지

    남인식; 오영균; 장선식 더 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본 연구는 성성숙 전 한우 송아지의 일일 유지 단백질(CPm) 요구량을 구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143.1 kg (실험 1)과 257 kg (실험 2)의 각 6두씩을 3수준의 단백질을 급여하는 two 3 ${\times}$ 3 latin square design에 공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기초사료로서 timothy 건초를 2.8 kg/d/head를 급여(LCP)하면서 분쇄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을 각각 250 g과 150 g (MCP) 그리고 500 g과 300 g (HCP) 보충 급여하였다. 실험 2에서는 기초사료로서 timothy 건초를 4.8kg/d/head를 급여(LCP)하면서 분쇄옥수수와 corn gluten meal을 각각 350g과 250g (MCP) 그리고 700g과 500g (HCP) 보충 급여하였다. 실험 1에서의 CP 섭취량은 LCP, MCP, HCP구에서 각각 236.6, 340.1, 459.8g/d 이었고, 대사체중당 조단백질 균형은 각각 0.51, 1.87, 3.20g 이었다. 실험 2에서의 CP 섭취량은 LCP, MCP, HCP구에서 각각 415.2, 606.9, 793.0g/d 이었고, 대사체중당 조단백질 균형은 각각 0.67, 1.03, 2.99g 이었다. 실험 1과 2에서 얻은 CPm 요구량은 각각 4.58과 5.02/$BW^{0.75}$ 이었고 한우 사양표준(농림부, 2007)에서 채택하고 있는 5.56g CP/$BW^{0.75}$ 보다 낮았다.

표/그림

  • CRABP1에 의한 전립선암 진행 촉진과 분자 기전 연구
    암 생존자 통합지지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암 생존자 통합지지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암 생존자 통합지지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