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

  • 검색건수

    • 91,027건

전체

  • EURO-6 대응 탈질촉매촉매시스템 연구

    (1415087702)

    2008

    산업에너지기술개발

    한현식

    희성촉매(주)

    지식경제부

    435000000 (74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10)

    EURO-6 대응 탈질촉매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크게 세가지 방향으로 접근한다. 귀금속 상태제어를 위해 새로운 형태의 귀금속 전구체를 개발하여 NOx 흡장형 촉매(NSR)와 Lean NOx 촉매개발에 활용하고, 더 나아가 귀금속이 지지체 골격속에 안정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도록 기존 함침공정과 다르게 수열합성방법으로 귀금속-지지체를 제조하여 DeNOx활성과 연관성을 살펴본다. Lean NOx 촉매에서는 저온용 Water Gas Shift Reaction 촉매 개발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귀금속 촉매를 제조하여 Lean NOx 촉매(LNC) 최적화를 달성하고 최적화된 Lean NOx 촉매정보를 NOx 흡장형 촉매(NSR)와 연계하여 NSR촉매 최적화에 기여한다. NSR촉매 개발을 위해 170도에서 NSR성능 확보를 위한 저온용 NOx 저장 물질을 개발하고, 450도 이상에서도 NOx를 안정하게 저장할 수 있는 신규 고온용 NOx 저장 물질 개발을 1단계에 이어 진행한다. 내구성 확보를 위해 귀금속 소결방지 방안과 황피독에 의한 NSR 촉매 활성저하 억제 방안을 수립한다. 확립된 내구성 증진방안을 LNC 촉매 개발에 활용한다.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촉매를 설계하고 Full Formulated 형태로 제조하여 DeNOx성능을 검증한다. EURO-5용 실차시스템을 구축하고, 연료소모 대비 DeNOx활성, 엔진배기가스 농도 변화에 대한 DeNOx활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DeNOx시스템을 완성한다.

  • 대형 경유차용 촉매시스템 설계 및 평가

    (1485008864)

    2010

    차세대핵심환경기술개발

    한현식

    희성촉매주식회사

    환경부

    140000000 (162500000)

    1. EURO-6 대응 가능 촉매 시스템 설정을 위한 EURO-5 최적시스템 분석2. EURO-6 대응 가능 촉매 시스템 설정3. EURO-6 대응 촉매 단품 별 개발4. EURO-6 대응 촉매 단품 별 특성 조사, 본 연구가 수행됨에 따라 경유차의 청정한 배출가스로 인해 수도권 및 전국의 대기질 향상뿐만 아니라· 국민보건 및 공해문제에 수반되는 세출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자동차 산업은 국가 기반산업 및 수출 전략산업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고용 창출과 외화 획득, 그리고 국위선양의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이 이러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강화되는 디젤 배기규제 대응을 위한 환경친화 엔진 및 후처리장치 관련 기반 요소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EURO-6 수준의 촉매시스템 설계 및 평가를 목표로 하는 본 과제를 통하여 관련 국내 기술력이 향상될 것이다. 5. EURO-6 대응 개선 촉매 적용을 통한 EURO-6 수준 촉매시스템 설정6. EURO-6 대응 촉매 시스템 평가 방안 선정 및 구축

  • EURO-6 대응 탈질촉매촉매시스템 연구

    (1415079663)

    2007

    산업에너지기술개발

    한현식

    희성촉매(주)

    산업자원부

    435000000 (551000000)

    「연구개발성과」 : 연구보고서(1) , 연구시설장비(2)

    본 연구(1차년도)는 EURO-5 규제만족을 위한 DeNOx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LNC, NSR, WGSR의 단위기술 최적화와 DeNOx 단품에 대한 기술개선을 바탕으로 DFC(Diesel Fuel Cracking)+NSR+WGSR기술을 접목시켜 복합 DeNOx시스템을 개발한다. 복합시스템의 DeNOx, DePM 시스템 최적화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최종 EURO-6 배기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는 DeNOx 시스템을 개발한다. 단위 촉매기술 연구에서는 귀금속 전구체 개발을 통해 귀금속의 상태, 크기, 모양을 제어하여 적용한다. 저온 WGSR 촉매개발, PGM/지지체 분산특성 조절, PGM/지지체 상호작용에 따른 DeNOx 활성을 조사하고, 신저장 물질 및 귀금속과 저장물질 사이의 상호작용 최적화와 증진제 개발로 LNC와NSR 단품촉매기술을 개선한다.

  • 전기원

    (한국화학연구원/한국공업화학회/한국화학공학회/대한화학회)

    박사

    촉매화학

    논문 (268/289)

    지식재산권 (0/49)

  • 선양국

    (한국전기화학회/미국전기화학회/한국화학공학회/국제 전기화학회 (ISE)/한양대학교)

    박사

    촉매화학공학

    논문 (205/429)

    지식재산권 (63/147)

  • 문동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촉매화학공학

    논문 (195/216)

    지식재산권 (84/126)

  • 이중 금속 시안화물 촉매를 이용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제조에 관한 연구

    2017

    학술지

    김수빈; 조장호; 안호근

    한국환경기술학회지

    2017.10.01

    본 연구에서는 염기성 촉매가 아닌 Double metal cyanide(DMC) 촉매를 사용하여 불포화도가 낮은 폴리올[Polypropylene glycol(PPG)]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DMC 촉매는 Zn과 Co의 몰 비, 촉매의 제조온도 및 건조온도를 변화시켜 제조하였고, 촉매의 성능은 제조된 PPG의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DMC 촉매의 물성은 SEM 이미지, XRD 패턴 및 BET 비표면적으로 조사하였으며, PPG의 물성은 수산기가, 점도 및 불포화도로 평가하였다. PPG의 제조에는 통상적인 회분식 가압반응장치를 이용하였다. 제조한 DMC(Zn/Co) 촉매에서 Zn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BET 비표면적은 증가하였다. Zn 함유량이 가장 많은 10:1-Zn/Co 촉매는 DMC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50℃의 제조온도와 100℃의 건조온도에서 제조된 촉매가 효과적이었고, Zn/Co의 몰 비를 10:1로 하여 제조한 촉매(10:1-Zn/Co)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조된 폴리올의 분자량은 사용한 촉매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불포화도는 사용한 촉매량과는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였다. 140℃ 이상의 반응온도에서 촉매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1-Zn/Co 촉매상에서 반응온도를 140℃로 하였을 때, 수산기가 40.4(KOHmg/g), 분자량 2,770(g/mol), 점도 610(cp) 및 불포화도 0.0051(meq/g)인 폴리올이 얻어졌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촉매는 불포화도가 낮으면서 분자량이 높은 폴리올의 제조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공정조건에 따른 NH3-SCR용 촉매의 질소산화물 제거특성

    2012

    학술지

    박광희; 차왕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선택적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에서 촉매의 다양한 공정조건에서의 질소산화물 전환특성을 조사하였다. $H_2$-TPR을 통해 Mn, Cu가 포함된 탈질촉매의 경우 저온에서의 산소사용능력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질촉매 #1의 경우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질효율이 감소하나 탈질촉매 #2의 경우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질효율이 증가하다가 일정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두 촉매의 $NH_3$ 산화능력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 촉매가 담지된 Ni/HY 촉매상에서 메탄의 건식 개질 반응 연구

    2017

    학술지

    정헌도

    청정기술

    2017.06.28

    HY 제올라이트에 담지된 Ni 촉매 및 Mg, Ca, K 그리고 Mn 등이 조촉매로 함께 담지된 Ni/HY 촉매상에서 메탄의 건식 개질 반응을 수행하였다. 촉매는 초기 함침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촉매는 XRD, BET, SEM 및 TGA 분석을 통하여 반응 전후 의 촉매 변화를 고찰하였다. Ni의 담지량이 증가함에 따라 메탄의 전환율 및 생성물의 수율이 증가하였으며 Ni의 담지량이 13 wt% 일 때 메탄의 전환율이 최대를 나타내었다. Mg를 조촉매로 함께 담지하였을 때 촉매의 탄소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촉매의 장기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조촉매로 담지된 Mg가 Ni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하여 Ni의 분산도를 향상시키고 촉매의 비활성화를 방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그림

  • 불균일 촉매를 이용한 유지계 바이오매스 유래 지방산의 친환경 에스테르화 공정 개발
    생물독성 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불균일계 촉매산화시스템 개발
    Corrugate형 촉매제조기술개발
    생물독성 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불균일계 촉매산화시스템 개발
  • 제철소 및 선박 배연가스 정화용 저온 탈질촉매 개발

    2015

    하헌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

    연구개발의 핵심은 바로 이것양자화학 계산기반 촉매설계기술을 적용하여 촉매를 개발하였다. 탈질촉매의 조촉매 기능을극대화하여 저온 특성을 향상시키고 촉매표면을 특수 개질처리하여 독보적인 내구성을 구현할수 있다.개발촉매의 특징은 약 220℃의 저온 영역에서도 탈질효율이 90%이상으로 우수하다는 것과이산화황 등 배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피독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는 ...

  • 고정화된 친환경 특수기능 이온성액체 촉매의 개발

    2010

    박대원

    부산대학교

    에너지환경

    이온성 액체 촉매가 청정공정의 해결사!분리와 재사용이 용이한 친환경 불균일계 촉매를 제조하다[이온성 액체는 청정 용매인 동시에 특수기능 촉매]이온성 액체란 이온만으로 구성된 액체를 말하여, 질소나 인 등을 포함하는 거대 양이온과 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다. 이온성 액체는 독특한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특성을 갖고 있어 청정 용매와 촉매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

  • 효과적인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고효율 탈질 촉매

    2007

    홍성호

    한국전력기술(주)

    에너지환경

    ...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질소산화물들, 이제 SCR기술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보다 낮은 온도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한다!]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기술은 선택적 촉매환원(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이다. SCR의 핵심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촉매이고, 다른 하나는 시스템의 구성이다. 탈질촉매라고 일컫는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