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건수

    • 1,383건

전체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2163)

    2021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R&D)

    홍성호

    (사)한국화재보험협회

    소방청

    1500000000 (202552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2) , 특허(9)

    - Off Gas 및 감지 센서 선정을 위한 모듈단위 가스 분석 시험- 모듈단위 소화약제 냉각성능 및 소화시험- ESS 위험 인자별 위험도 분석 및 평가 절차서 개발- ESS 위험 인자에 따른 위험성 예측 및 완화 조치 방안 제시- Module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성능평가- 열폭주 시험을 통한 조기감지 인자 수집 수집서버 카테코리 정립 및 센서모듈 설계- CFD 결과를 바탕으로 ASD 센싱 시뮬레이션- 모듈 발화에 대한 FDS/물리적 화재모델링 적용 방안 연구- 발화 시 모듈 내 미분무수 또는 약제 침투성에 대한 FDS/물리적 모델링 적용 방안 연구- 진압대응 이격거리 및 진행정보별 대피유도 기준 수립- ESS 화재 긴급대응 매뉴얼 개발 및 검토- (수치해석 기반) 배터리 충·방전시 열폭주 현상 발생시 전기화학 및 열역학 현상 예측이 가능한 다중물리 모델 개발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2563)

    2022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홍성호

    한국화재보험협회부설방재시험연구원

    소방청

    1500000000 (20000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5) , 특허(4)

    - 열폭주 전조현상 유형별(충전조건별) 감지센싱 파라미터 유효성 검증 시험- 화재 조기 감시를 위하여 1,2차년도를 통해 수집된 정보 기반 ASD 내장 센싱 모듈 개발- 열폭주 및 화재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 개발- 열폭주 및 화재 발생이 아닌 상황에서 오 경보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한 판단 알고리즘 개발- 개발된 감지센싱시스템의 감도성능 검증 시험, 시나리오별 비화재보 시험- Rack 방호용 전용 소화장치 제작, 성능평가- 열적 변화 및 off-gas 조기 감지를 위한 종합적인 측정 기술(장치) 조사 분석- ESS 사용 및 설치 환경 조사 및 시장의 변화 동향 분석- 감지 효율화를 위한 공간 내 배치 구조 설정 및 실험- 모델차수축소법(Model order reduction) 및 현상학적 모델링 기법(phenomenological modeling)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열폭주 현상 모사가 가능한 다중물리 모델 개발

  • ESS 화재대응을 위한 자동소화시스템 개발

    (1761002707)

    2023

    ESS수소시설화재안전기술연구개발

    홍성호

    (사단)한국화재보험협회

    소방청

    1400000000 (1800300000)

    「연구개발성과」 : 논문(5) , 특허(1)

    - 자동소화시스템 + Simulation 반영 랙 시험 설계- 실화재 자동소화시스템 안전성평가 시험- 자동소화시스템 랙 단위 화재 실증 시험- ESS 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 개정안 도출 - ESS 자동소화시스템 시제품 제작, 구축 및 성능평가- 참여기관의 기 구축 재난.안전 플랫폼 연계 기술 개발을 통한 통합 감시 시스테 구축- 구축된 시스템의 실증을 위해 열폭주상태 및 냉각 시스템에 대한 유효성 검증 실험 실시- 인공지능 기반 실험데이터 학습기반 배터리 열폭주 예측모델 개발- ESS 자동소화설비 안전기준(안) 개발, ESS 자동소화설비 제도 개선(안) 개발

표/그림

  • ESS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배터리 성능최적화 및 화재예방을 위한 지능형 ESS 개발
    ESS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배터리 성능최적화 및 화재예방을 위한 지능형 ESS 개발
    ESS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배터리 성능최적화 및 화재예방을 위한 지능형 ESS 개발
  • 화재 및 폭발이 없는 세라믹 기반의 고전압형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핵심기술 개발

    2020

    김호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전기차 및 ESS 화재 및 폭발 사고 다발최근 전기자동차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비례하여 배터리 팩, 에너지저장 시스템(ESS)의화재·폭발사고도 증가하는 ...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과충전, 온도 변화, 셀 내부 단락 등 자체결함에도불구하고 화재 및 폭발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성능 고체전해질 소재, 그리고 전기차 주행거리를2∼3배 ...

  • 기능성 분리막을 이용한 고신뢰성 리튬 금속 전지 개발

    2022

    유지영

    경북대학교

    에너지환경

    ... 차별성·우수성 - 급속 충전을 위한 리튬 이온 전지 음극 계면 제어 기술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를 살펴보면 대부분 충전 중 특히 급속 충전 중에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급속 충전 시 ... 있다.과학기술적 파급효과 - 전극 전해질 계면 제어 원리 규명 및 응용분야 확대전기차에서 대용량 ESS까지 전지로 인한 화재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을 높이는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

  • “옷처럼 입는다” 차세대 아연배터리 개발

    2022

    이중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환경

    ... 안전하고 성능이 높은 배터리에 대한 수요최근 리튬이온배터리를 활용한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화재 사고로 인해 안전한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화재의 주원인은 가연성의 전해질인데, ... 전지를 적용한 경우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얻은 전력 에너지를 저장하는 대규모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설비비용을 리튬전지 대비 kWh당 1/3 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4차 ...

NTIS 검색결과 다운로드

신규 검색결과 알림

검색하신 키워드에 대한 신규정보를 수집 시 알려드립니다.

  • 검색콘텐츠

    과제

  • 검색키워드

    딥러닝

  • 발송주기

    선택주기

알림내용 및 설정은마이페이지보관함신규검색결과 알림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계속과제 묶어보기 도움말

계속과제 묶어보기 이미지

관심정보함담기

기본폴더에 담겼습니다.

마이페이지 > 관심정보함에서 확인하세요.

관심정보함담기

관심한 정보는마이페이지관심정보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