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데이터 수집 및 미러링, 디지털트윈모델 및 모델링, 해양디지털트윈 플랫폼, TBD의 요구분석 / 요소기술 기본설계/요소기술 개발단계설계/설계보완 / 기본 개발① (실시간 해양데이터 수집 및 미러링 기술)ㆍ기존 해양지형 실시간 형상정보와 실시간 센싱 및 정보수집을 통한 현상정보 수집데이터 선정ㆍ수심변화에 따른 표층, 중층, 저층별 해양 데이터 유형 분석ㆍ관측소별 데이터제공현황 조사분석ㆍ기존 데이터연동 현황 검토② (해양 디지털트윈 모델 및 모델링 기술)ㆍ정책시뮬레이터 및 서비스 모델을 고려한 필수 구현 대상 및 데이터 파라미터 선정(데이터사양정의)ㆍ해양공동활용체계를 통한 해양관측소의 실시간 정보 체계 구축ㆍ해양정보 실시간 정보 전달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기술 개발ㆍ해양정보 실시간 정보 처리 게이트웨이 및 네트워크 기술 개발ㆍ관측 및 예측자료 전처리 및 리포맷팅 구조 설계ㆍ시설물 및 선박 센서 IoT 센싱 구조 설계ㆍ실시간 변동/속성정보 메타데이터 정의, 생성 및 실시간 저장 기술 개발ㆍ기상정보 등 국내 해양정보 제공 플랫폼(항로표지, 기상청 등) 연계 및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ㆍ타원체고(Ellipsoid Height)기준 해수면 및 해저지형, 정밀해안선 외곽 경계 기준으로 내부(해수면층, 표층, 중층, 저층, 저질) 세밀 3차원 큐브 격자 구획 및 계층화 구조 개발ㆍ비고정 고정밀 해저지형 및 저질데이터 반영 데이터구조 개발ㆍ지형적 특성에 따른 해수면고의 3차원 큐브 높이 실시간 변동값(Vector) 적용 4D 데이터 구조 설계ㆍ해수면고 예측을 위한 가공데이터 기반 4D 데이터 자동 생성 알고리즘 및 3D모델링 데이터 구조 설계ㆍ전 해역 S-102 1m급 및 120m급 데이터 기반 해저지형 데이터 구축방법 및 기존 수심알고리즘 활용을 통한 실시간 3차원 데이터구조 설계③ (개방형 해양 디지털트윈 플랫폼 개발)ㆍ해양 디지털트윈 모델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 설계ㆍ국제표준 타원체고 기반 S-102 데이터의 3D 해저지형 모델링기술 개발ㆍ해양디지털 트윈용 3D, 4D 분석, 연산 엔진 개발ㆍ분석모델 및 연산엔진정의ㆍ해양 디지털트윈 시뮬레이터 요구사항 분석ㆍ해양 디지털트윈 시뮬레이터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ㆍ해양정책입력데이터 정의ㆍ관측자료 및 수치모델 기반 해수면 변동 전망 기존 분석방법 조사 및 기본정의ㆍ해양정책 시뮬레이터 및 서비스 모델 정의④ (테스트베드 구축/검증 및 표준화)ㆍTTA 협의체 구성ㆍTTA 사전협의ㆍVR/AR 기기연동 인터페이스 설계ㆍ 개방형 해양 디지털트윈 SW 플랫폼 기술 개발ㆍ 외부 시스템 연계에 필요한 개방형 API 개발